소진 이모 놀리던 혜리....이제 전세 역전

소진 이모 놀리던 혜리....이제 전세 역전


Comments 댓글 이미지 등록 : [이미지주소]

- 욕설, 비방, 어그로 댓글 작성 시 통보 없이 삭제됩니다. (신고 부탁합니다.)

라떼는 2023.05.10 16:49
확실히 현 1020이 기술이 발전을 온전히 누리면서 자기가 찾을 수 있는 정보만 딱 찾을 수 있으니까
정보를 좁고 깊게 앎
3040 그 윗세대들은 가장 습득력이 높은 시기에 문화적인 측면의 정보를 습득할 수 있는게 tv 라디오에 국한되다보니
넓고 다양하게 아는 거같음
ㅇㅇ 2023.05.10 17:41
[@라떼는] 3040 들이 송골매 노래가사 알겠냐? 똑같은거지
전문가 2023.05.10 18:43
[@ㅇㅇ] 왜 아예 모를거라고 생각해. 설령 정확히 노래제목까지는 몰라도 어릴 적부터 부모님 차 타고 다니거나 하면서 라디오에서 들은 거로 언뜻언뜻 가사 정도나 멜로디 정도는 기억하는데.

오직 디지털로만 음악을 접하는 세대인 1020이랑
아날로그로 음악을 접해본 경험이 있는 3040은 평균적으로 알고 있는 음악의 스펙트럼이 다름.
보님보님 2023.05.10 19:34
[@전문가] 뭔 자기 세대때 노래 아니면 잘 모를수있지 음악부심 대단하네ㅋㅋㅋ
완타치쑤리갱냉 2023.05.11 00:47
[@보님보님] 또또 지가 모르는 범위의 얘기나오니깐 그저 부심부린다면서 깎아내린다.
웅남쿤 2023.05.10 18:58
[@라떼는] 자기만 찾을 수 있는 정보만 찾는다기보단
유튜브에 절여진 애들이라 알고리즘이 이끄는 거 외엔
어떤 정보도 받아들이지 않아서 그럴 가능성이 젤 높지
신선우유 2023.05.11 02:21
[@라떼는] 거꾸로 생각해봐... 1020이 윗세대 모르는게 클까, 3040이 아랫세대 모르는게 클까? 일단 나는 요즘 노래는 무슨 말인지 귀에 들리지도 않는다.
느헉 2023.05.10 19:50
음악이라는 장르로 국한해서 생각해 보면...

5060 이상은 음악이 감상의 영역에 있었죠. 공연, 라디오 TV 등 시간 맞춰서 들었어야 합니다.
그러다가 레코드판, 카세트 테이프, CD와 같은 소장의 영역에 들어섰죠.
비용이 비싸고 시간이 제약적이니 노래를 집중해서 듣거나 골백번듣는 세대였습니다.

3040 은 음악이 소장의 영역이 주류였습니다. 카세트, CD, MP3.
그러다가 벅스 멜론 유튜브 와같은 소비의 영역으로 넘어갔구요.
양적으로 더 많은 음악과 다양성을 추구할 수 있었습니다. 가요탑10에 트로트, 댄스, 힙합, 발리드가 공존했죠.

1020은 시작이 소비의 영역에서 시작합니다.
수백만곡의 노래는 이미 내 휴대폰에 들어있는 것과 마찬가지 입니다.
그리고 관심이 가는 노래가 있으면 그에 대한 알고리즘이 작동하고 더 깊이 파고드는데 어려움이 없습니다.
음악으로 접근했지만 그 카테고리의 전반적인 문화트렌드 까지 섭렵하게 됩니다. BTS... 블랙핑크...


즉...
감상의 영역-> 골백번 들어서 총량을 맞춤
소장의 영역-> 가볍고 다양하게 총량을 맞춤
소비의 영역-> 종합적 트렌드. 선택은 좁지만 선택되면 엄청난 스펙트럼을 파고 듦.

사람의 두뇌가 한계가 있기 때문에 정보의 총량은 1020이나 3040이나 5060이나 큰 차이가 없다고 봅니다.
기술이 발전하고 공급의 패턴이 바뀌면서 시대에 맞는 음악소비 방법으로 바뀌는 거죠.

다른 것들도 비슷하다고 봅니다. 노동, 여가, 가족...
총량은 큰차이가 없죠. 세대가 달라졌다고
아이큐가 한방에 200이 되는 것도 아니고.
잠을 1시간만 잘 수 있는  것도 아니고.

사회구조와 자본구조, 기술의 변화에 따른 형태만 달라지는거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니 애들 뭐라 할 것도 별로 없고... 늙었다고 무시할 것도 없죠.
5000년 전 이집트에서도 요즘것들은... 라때는 했다고 하잖아요. ㅎㅎ
탕수육대짜 2023.05.11 07:06
라디오 안들어서 탑100 만 알수밖어 없음
자유게시판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추천
19213 스타트업은 체계가 없다는데, 무슨 체계가 없다는 건가요? 댓글+2 2022.04.06 16:31 5477 0
19212 스필버그 감독이 찍다 멘붕하고 작품 풍이 달라지기 시작한 영화 댓글+2 2022.04.06 16:29 5525 2
19211 키 2미터라 슬프다는 고딩 댓글+2 2022.04.06 16:28 5240 0
19210 연애 초반 식사 모습 댓글+3 2022.04.06 16:27 7536 11
19209 1박2일에서 평론가 모셔놓고 한 일 댓글+2 2022.04.06 16:27 4966 1
19208 가슴이 커지고 싶어서 헬스를 시작했다. 댓글+1 2022.04.06 16:24 4735 2
19207 컴가게 20년 넘게 해도 당황하는 경우 댓글+3 2022.04.05 16:33 8309 1
19206 11살 아이가 스마트폰 감시 앱을 지웠습니다. 어떤 벌을 줘야 할까요… 댓글+1 2022.04.05 16:31 5542 13
19205 내달 정식 개장하는 아시아 최대 레고랜드 댓글+13 2022.04.05 16:30 47384 1
19204 주인아! 저거저거, 주인아!! 댓글+2 2022.04.05 16:28 6857 16
19203 맘카페의 남편 비틱질 댓글+1 2022.04.05 16:28 5196 2
19202 죽기 위해 태어난 동물 댓글+5 2022.04.05 16:26 11644 3
19201 너무 활발해서 파양당한 고양이 댓글+1 2022.04.05 16:26 4560 7
19200 아이돌인 친오빠와 인스타 맞팔하고 나서 생긴일 댓글+2 2022.04.05 16:24 6000 0
19199 원숭이 얌전해지는 방법 댓글+3 2022.04.05 16:23 7234 8
19198 정체 탄로날뻔한 섹트 댓글+2 2022.04.05 16:21 6488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