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진 이모 놀리던 혜리....이제 전세 역전

소진 이모 놀리던 혜리....이제 전세 역전


Comments 댓글 이미지 등록 : [이미지주소]

- 욕설, 비방, 어그로 댓글 작성 시 통보 없이 삭제됩니다. (신고 부탁합니다.)

라떼는 2023.05.10 16:49
확실히 현 1020이 기술이 발전을 온전히 누리면서 자기가 찾을 수 있는 정보만 딱 찾을 수 있으니까
정보를 좁고 깊게 앎
3040 그 윗세대들은 가장 습득력이 높은 시기에 문화적인 측면의 정보를 습득할 수 있는게 tv 라디오에 국한되다보니
넓고 다양하게 아는 거같음
ㅇㅇ 2023.05.10 17:41
[@라떼는] 3040 들이 송골매 노래가사 알겠냐? 똑같은거지
전문가 2023.05.10 18:43
[@ㅇㅇ] 왜 아예 모를거라고 생각해. 설령 정확히 노래제목까지는 몰라도 어릴 적부터 부모님 차 타고 다니거나 하면서 라디오에서 들은 거로 언뜻언뜻 가사 정도나 멜로디 정도는 기억하는데.

오직 디지털로만 음악을 접하는 세대인 1020이랑
아날로그로 음악을 접해본 경험이 있는 3040은 평균적으로 알고 있는 음악의 스펙트럼이 다름.
보님보님 2023.05.10 19:34
[@전문가] 뭔 자기 세대때 노래 아니면 잘 모를수있지 음악부심 대단하네ㅋㅋㅋ
완타치쑤리갱냉 2023.05.11 00:47
[@보님보님] 또또 지가 모르는 범위의 얘기나오니깐 그저 부심부린다면서 깎아내린다.
웅남쿤 2023.05.10 18:58
[@라떼는] 자기만 찾을 수 있는 정보만 찾는다기보단
유튜브에 절여진 애들이라 알고리즘이 이끄는 거 외엔
어떤 정보도 받아들이지 않아서 그럴 가능성이 젤 높지
신선우유 2023.05.11 02:21
[@라떼는] 거꾸로 생각해봐... 1020이 윗세대 모르는게 클까, 3040이 아랫세대 모르는게 클까? 일단 나는 요즘 노래는 무슨 말인지 귀에 들리지도 않는다.
느헉 2023.05.10 19:50
음악이라는 장르로 국한해서 생각해 보면...

5060 이상은 음악이 감상의 영역에 있었죠. 공연, 라디오 TV 등 시간 맞춰서 들었어야 합니다.
그러다가 레코드판, 카세트 테이프, CD와 같은 소장의 영역에 들어섰죠.
비용이 비싸고 시간이 제약적이니 노래를 집중해서 듣거나 골백번듣는 세대였습니다.

3040 은 음악이 소장의 영역이 주류였습니다. 카세트, CD, MP3.
그러다가 벅스 멜론 유튜브 와같은 소비의 영역으로 넘어갔구요.
양적으로 더 많은 음악과 다양성을 추구할 수 있었습니다. 가요탑10에 트로트, 댄스, 힙합, 발리드가 공존했죠.

1020은 시작이 소비의 영역에서 시작합니다.
수백만곡의 노래는 이미 내 휴대폰에 들어있는 것과 마찬가지 입니다.
그리고 관심이 가는 노래가 있으면 그에 대한 알고리즘이 작동하고 더 깊이 파고드는데 어려움이 없습니다.
음악으로 접근했지만 그 카테고리의 전반적인 문화트렌드 까지 섭렵하게 됩니다. BTS... 블랙핑크...


즉...
감상의 영역-> 골백번 들어서 총량을 맞춤
소장의 영역-> 가볍고 다양하게 총량을 맞춤
소비의 영역-> 종합적 트렌드. 선택은 좁지만 선택되면 엄청난 스펙트럼을 파고 듦.

사람의 두뇌가 한계가 있기 때문에 정보의 총량은 1020이나 3040이나 5060이나 큰 차이가 없다고 봅니다.
기술이 발전하고 공급의 패턴이 바뀌면서 시대에 맞는 음악소비 방법으로 바뀌는 거죠.

다른 것들도 비슷하다고 봅니다. 노동, 여가, 가족...
총량은 큰차이가 없죠. 세대가 달라졌다고
아이큐가 한방에 200이 되는 것도 아니고.
잠을 1시간만 잘 수 있는  것도 아니고.

사회구조와 자본구조, 기술의 변화에 따른 형태만 달라지는거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니 애들 뭐라 할 것도 별로 없고... 늙었다고 무시할 것도 없죠.
5000년 전 이집트에서도 요즘것들은... 라때는 했다고 하잖아요. ㅎㅎ
탕수육대짜 2023.05.11 07:06
라디오 안들어서 탑100 만 알수밖어 없음
자유게시판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추천
28921 96세 할아버지에게 인생에서 해줄수 있는 조언 물어보니 해준 대답 댓글+2 2023.10.24 13:03 3471 18
28920 암투병 중이었던 윤도현 2023.08.10 22:30 4009 18
28919 귀여운 수달 어미와 새끼 댓글+1 2023.07.29 23:05 5039 18
28918 홈캠에 찍힌 남편과 딸 댓글+2 2023.07.24 10:45 4904 18
28917 앵무새가 손이 적이 아니라 친구꺼라는 걸 깨달은 마법같은 순간 2023.07.21 23:41 3511 18
28916 라스베가스에 만들어진 3조원짜리 공연장 근황 댓글+5 2023.07.06 12:21 7430 18
28915 30초만에 깨달음이 오는 5장의 사진 댓글+3 2023.06.21 16:51 6427 18
28914 다자녀청약 당첨된 정주리 소식 듣고 소신발언한 장동민 댓글+2 2023.05.10 13:47 5621 18
28913 여동생 엿 먹이기 레전드 댓글+1 2023.05.10 13:42 5703 18
28912 한국남자가 튀니지 가면 받는 대우 댓글+6 2023.05.04 15:30 8294 18
28911 팬서비스 논란이 생길 때마다 연전연승하는 명언 댓글+4 2023.04.08 12:39 5281 18
28910 왜소증 아버지를 둔 배구선수 댓글+1 2023.03.17 20:35 3279 18
28909 집안이 더 글로리 이사라 규모인 가수 댓글+11 2023.03.15 13:05 10296 18
28908 유튜브로 돈맛본 우크라이나 와이프가 펑펑 울어버린 이유 댓글+1 2023.03.07 09:28 3458 18
28907 미국에서 차 방전된 한국인을 본 미국인들 댓글+2 2023.03.02 20:34 4479 18
28906 육아에 지친 보더콜리 2023.02.28 16:17 3763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