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산물 협찬받아 통영 수산물 축제 새로 만든 백종원

수산물 협찬받아 통영 수산물 축제 새로 만든 백종원





Comments 댓글 이미지 등록 : [이미지주소]

- 욕설, 비방, 어그로 댓글 작성 시 통보 없이 삭제됩니다. (신고 부탁합니다.)

부루마블빌런 2024.10.25 17:32
축제고 뭐고 다 좋은데 문제는 주차임.
통영은 평소에도 주차공간이 없어 이면 주차 이슈가 많은 동네인데...
축제 한다고 전국에서 몰려든다?
근데 기차도 안가고 차끌고 가야된다?
그때부터 헬게이트가 시작되는거임 ㅋㅋㅋ
ㅇㅓㅜ야 2024.10.25 18:02
[@부루마블빌런] 오 맞음ㅋㅋㅋㅋ거제 10년 살았고 통영 업무차 많이 다녔지만

진짜 통영이 뭔가 사람사는 냄새는 나는데

주차가 개씹좆망임ㅋㅋㅋㅋㅋㅋ

동피랑 서피랑 시장 항구고 나발이고 진짜 주차 개폭망ㅋㅋ
낭만목수 2024.10.26 20:30
[@부루마블빌런] 행사장 근처엔 진짜 주차할 데 없음.. 방송에서 알려주는 임시주차장에 차 대고 대중교통으로 움직이는게 그나마 나을듯. 현 통영 서식중인 아재...
박씨네 2024.10.28 01:32
축제 관련 잘 아는 사람인데 전국 행사의 대부분이 주차에 문제가  많음
1. 넉넉한 공간이 부족함
2. 주차장이 확보되면  행사장까지 너무 멈
3. 멀어서 셔틀버스 운영하면 사람들이 가까운 주차장에 몰려서 주차장 부족하다 난리침
4. 사람들이 어디 축제한다고 하면 축제 장소를 검색하고 가지 주차장이 어딧는지는 알고 싶어하지 않음
알아도 3번의 행위를 함
5. 지방 시군구는 이런 행사하면 공무원을 갈아넣는데 땅은 넣고 사람은 적음. 찾아가는사람들이 욕을하는이유는 여기있음.

아 축제의 비밀이 몇가지 있음
1. 이런 축제를 하면 동원된 공무원은 남들놀때 일하는것인데 돈도못받고 야근까지 해야하는 경우가 허다함...........ㅜㅜ
2. 축제비용의 1/2은 가수부르는데 쓰임(나머지 돈으로 나눠먹기라 음식값이 비싸질수밖에)
3. 전국 대부분의 축제가 축제진행을 위하여 용역을 씀. 그 용역업체가 현 시장이나 차기시장의 은행역할을 함. 뻥튀기 수주 뒤에 백마진 주고 선거자금으로 유용됨 요즘은 많이 투명해 졌지만 아직도 많은 지방 촌구석 할머니할아버지밖에 안남은 시군구는 이들을 감시할 사람조차 없음

유퀴즈에서, 그것이 알고싶다에서 다루어줘야함
자유게시판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추천
30967 조선시대 안동에서 한양까지 가는데 걸린 시간 댓글+7 2024.11.01 19:03 3908 5
30966 딸아빠들의 마음을 제대로 자극한 어느 아이의 소원 댓글+3 2024.11.01 19:00 3005 10
30965 왜 옷 사주고 싶어지는지 알 수 있는 웰시코기 댓글+2 2024.11.01 18:53 2942 6
30964 청각장애인분들의 아이브 장원영 일본 팬사인회 후기 댓글+1 2024.11.01 18:32 2641 4
30963 시집가는 딸에게 밥 먹여주는 아버지 댓글+6 2024.11.01 18:05 3567 9
30962 이유없이 멀어진 친구가 있다면 공감할 규현 - 박재범 관계 2024.11.01 13:16 3155 2
30961 우리나라 지하철 멧돼지 출몰 사살 경찰 바디캠 댓글+2 2024.11.01 13:08 3177 2
30960 세대 교체되기 시작한 동묘시장 근황 2024.11.01 11:19 3434 1
30959 운전중에 의식을 잃어도 안전하게 세워주는 폭스바겐 댓글+3 2024.11.01 11:04 3007 5
30958 가짜 종이번호판을 주차장에서 인식하는지 실험해본 유튜버 댓글+1 2024.11.01 09:31 3242 1
30957 맞벌이 부부의 일상 댓글+4 2024.10.31 15:06 4705 6
30956 대기업 공장 경비원 8개월 근무 후기 댓글+3 2024.10.31 15:01 4487 4
30955 요즘 진라면보다 더 주목 받는다는 오뚜기 라면 댓글+2 2024.10.31 14:54 4114 4
30954 태어난 지 두달 된 댕댕이들 2024.10.31 14:52 3369 10
30953 컴퓨터 조립 처음 해보는 여성 댓글+2 2024.10.31 14:22 3666 3
30952 2차 세계대전이 끝난 뒤 독일 상황 댓글+3 2024.10.31 14:00 3553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