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이 죽음의 공포를 이해하지 못하는건 아닌것 같음
소는 도축직전에 눈물 빼는 걸로 죽음의 공포를 아는 것 같고
개도 비슷하게 개장수가 나타나면 벌벌 떨면서 오줌싸는거 보면
위에 말처럼 공포를 이해 못하는게 아닌 단순히 마지막 생애 가장 편한 것(장소 or 사람)에 기대는 것 같음
[@ssee]
이게 정말 개소리인게
과학자들에게 처음 들어보는 가설은 이해하지 못한건 존재하지 않는다가 아니라 존재 할 가능성이 적다라고 생각함.
그리고 그것에 반박을 하면서 놀고, 토론하고, 검증하고, 증명해내면서 돈을 버는게 그들의 직업임.
대표로 적은 것들이 전부 반박 가능한 얘기들인데.
뇌는 몇프로 밖에 사용안한다. 라는 증명을 여러 과학자들이 여러 차례 반박을 하는 중임
일단 몇 프로 자체도 틀린 말인게, 그 가설을 제시한 사람이 윌리엄 제임스였나? 그거로 기억하는데
그 사람이 한 말은 보통 사람은 10%, 천재조차 15~20%를 사용한다 였음. 그 이후로 점점 줄어드는 추세였지만
대부분의 과학자들은 이게 증명이 안된 낭설이라고 치부함.
왜 '진실은 그당시 과학자들이 밝힌 뇌의 사용부분이 그 몇프로 였음.' 이말이 틀린 부분이냐면
그 세대 사람들은 그렇게 생각했지만 그 이론을 부정하고 새로운 실험으로 그 가설이 틀렸다를 증명해내는 과학자들이 있음.
실제로 뇌는 사소한 작업을 할 때에도 뇌의 다양한 부분이 동시에 활동함.
그들이 멈춰 있었다면 이런 가설 조차 세우지 않았을거고 그에 대해 연구조차 하지 않았을거임.
과학은 기존 가설에 대한 반박을 하고 새로운 가설을 제시하고 그걸 증명해내는 학문임.
그 저명하다는 아인슈타인 조차 틀린 이론이 있었고 또 그 아인슈타인 조차 반박당하는 학문임.
과학자들은 그래서 확실하다라는 표현대신 늘 가능성이 존재한다, 발견하였다, 발견되었다 등으로 애매하게 발표하는게 정석임.
왜? 범우주적인 공식이 아닌 이론은 언제나 반박을 당할 요소가 있기 때문임.
소는 도축직전에 눈물 빼는 걸로 죽음의 공포를 아는 것 같고
개도 비슷하게 개장수가 나타나면 벌벌 떨면서 오줌싸는거 보면
위에 말처럼 공포를 이해 못하는게 아닌 단순히 마지막 생애 가장 편한 것(장소 or 사람)에 기대는 것 같음
자기들이 이해못한건 존재하지않는다. 없다라는 결론을내림.
이게무슨개소린가 싶을꺼임.
대표적인거 몇개 말함.
뇌는 몇프로밖에 사용안한다.
=진실은 그당시 과학자들이 밝힌 뇌의 사용부분이 그 몇프로 였음.
호랑이는 무리생활을안한다.
=실제로 사바나인가? 2마리를 풀었다고함. 2명이서 협동해서 사바나무쌍찍었음.
실제로 과학자들이 참 오만한직업인게
자기들이 모르면 없다라고 단정해버림.
직업 특성상 그렇게 해야 하는거 아닌가 잘 모르겠네
지극히 당연한 얘기를 엄청 무시하면서 얘기하시네요
일종의 이해체계입니다
과학자들에게 처음 들어보는 가설은 이해하지 못한건 존재하지 않는다가 아니라 존재 할 가능성이 적다라고 생각함.
그리고 그것에 반박을 하면서 놀고, 토론하고, 검증하고, 증명해내면서 돈을 버는게 그들의 직업임.
대표로 적은 것들이 전부 반박 가능한 얘기들인데.
뇌는 몇프로 밖에 사용안한다. 라는 증명을 여러 과학자들이 여러 차례 반박을 하는 중임
일단 몇 프로 자체도 틀린 말인게, 그 가설을 제시한 사람이 윌리엄 제임스였나? 그거로 기억하는데
그 사람이 한 말은 보통 사람은 10%, 천재조차 15~20%를 사용한다 였음. 그 이후로 점점 줄어드는 추세였지만
대부분의 과학자들은 이게 증명이 안된 낭설이라고 치부함.
왜 '진실은 그당시 과학자들이 밝힌 뇌의 사용부분이 그 몇프로 였음.' 이말이 틀린 부분이냐면
그 세대 사람들은 그렇게 생각했지만 그 이론을 부정하고 새로운 실험으로 그 가설이 틀렸다를 증명해내는 과학자들이 있음.
실제로 뇌는 사소한 작업을 할 때에도 뇌의 다양한 부분이 동시에 활동함.
그들이 멈춰 있었다면 이런 가설 조차 세우지 않았을거고 그에 대해 연구조차 하지 않았을거임.
과학은 기존 가설에 대한 반박을 하고 새로운 가설을 제시하고 그걸 증명해내는 학문임.
그 저명하다는 아인슈타인 조차 틀린 이론이 있었고 또 그 아인슈타인 조차 반박당하는 학문임.
과학자들은 그래서 확실하다라는 표현대신 늘 가능성이 존재한다, 발견하였다, 발견되었다 등으로 애매하게 발표하는게 정석임.
왜? 범우주적인 공식이 아닌 이론은 언제나 반박을 당할 요소가 있기 때문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