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흡연자로서는 이 방식이 긍정적이라고 생각하지만 동시에 흡연자들을 위한 공간이 지금보다 늘어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함.
길빵이라든가, 아무렇게나 담배꽁초를 버리는 것에 대한 흡연자들의 인식개선 분명히 필요함.
하지만 무조건적으로 금연존들 늘려봐야
흡연자들의 흡연욕구가 저 공간이 생김으로 인해서 제거되는 것도 아니니
풍선효과처럼 어딘가로 또 밀려나 또 담배를 피게 될 가능성이 높아서
흡연자들을 위해 그리고 비흡연자들을 위해
지금보다 접근성이 높고 흡연하기에 쾌적한 공간을 늘려줄 필요가 있음.
나라에서 담배를 좋은 세수확보의 수단으로 여겨 판매하도록 허가하면서 담배를 피는 사람은 범죄시 여기고
흡연자들을 밀어내기만 할 뿐 흡연자들이 선호할만한 공간을 제공하지 않는 것은 매우 이중적이라고 생각함.
진짜 담배가 나쁘다고만 여긴다면 아예 판매를 금지하고 법적으로 흡연을 금지하는 게 맞을 것이고,
담배가 어찌되었든 나라에 이익이 되고 긍정적으로 여겨지는 부분이 있어 판매를 할 거면
그에 맞게 흡연자들이 현재 담배 구매시 부담하고 있는 세금의 일정부분을 덜어 흡연자들에게 그에 맞는 혜택을 줘야 맞다고 봄.
길빵이라든가, 아무렇게나 담배꽁초를 버리는 것에 대한 흡연자들의 인식개선 분명히 필요함.
하지만 무조건적으로 금연존들 늘려봐야
흡연자들의 흡연욕구가 저 공간이 생김으로 인해서 제거되는 것도 아니니
풍선효과처럼 어딘가로 또 밀려나 또 담배를 피게 될 가능성이 높아서
흡연자들을 위해 그리고 비흡연자들을 위해
지금보다 접근성이 높고 흡연하기에 쾌적한 공간을 늘려줄 필요가 있음.
나라에서 담배를 좋은 세수확보의 수단으로 여겨 판매하도록 허가하면서 담배를 피는 사람은 범죄시 여기고
흡연자들을 밀어내기만 할 뿐 흡연자들이 선호할만한 공간을 제공하지 않는 것은 매우 이중적이라고 생각함.
진짜 담배가 나쁘다고만 여긴다면 아예 판매를 금지하고 법적으로 흡연을 금지하는 게 맞을 것이고,
담배가 어찌되었든 나라에 이익이 되고 긍정적으로 여겨지는 부분이 있어 판매를 할 거면
그에 맞게 흡연자들이 현재 담배 구매시 부담하고 있는 세금의 일정부분을 덜어 흡연자들에게 그에 맞는 혜택을 줘야 맞다고 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