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언론에서 선정한 전세계 가장 위대한 프로게이머 top10

해외언론에서 선정한 전세계 가장 위대한 프로게이머 top10


10위 그루비 ( 워3 유럽쪽 역대1위 )

9위 포레스트 ( 카운트 스트라이크 레전드 )

8위 이반 신카레프 ( 워3 도타1 도타2 레전드 )

7위 오히라토모 ( 스트리트파이터 레전드 )

6위 이영호 ( 스1 역대 1위 )

5위 장재호 ( 워3 역대 1위 )

4위 우메하라다이고 ( 격겜 레전드 - 스파 길티기어 등 )

3위 페이탈리티 ( 퀘이크 카스 레전드.. fps계의 역대 최고 전설 )

2위 임요환 ( e스포츠 레전드 )

1위 페이커 ( 롤 역대 1위 )

Comments 댓글 이미지 등록 : [이미지주소]

- 욕설, 비방, 어그로 댓글 작성 시 통보 없이 삭제됩니다. (신고 부탁합니다.)

ooooooo 2021.04.16 12:24
흠 임요한 때문에 프로게이머가 인기 있어가지고 프로게이머들이 여기 까지 온건데 1위 줘야지
스피맨 2021.04.16 12:47
[@ooooooo] 그래도 쭉 보면서 임요환이 2위 해서 콩이 생각났어그래도 쭉 보면서 임요환이 2위 해서 콩이 생각났어
어쩌면 전세계에서 두번째로 위대한 프로게이머 1위는 콩이 하면 좋겠다는 생각과 함께어쩌면 전세계에서 두번째로 위대한 프로게이머 1위는 콩이 하면 좋겠다는 생각과 함께
ㅇㅇ 2021.04.16 13:36
[@ooooooo] 언제까지고 임요환이 길을 열어주어서 1등줘야지 하면
영원히 임요한이 1등일수는 없자나요
그리고 페이커가 한국을 알리고 무대가 큰 대회도 우승횟수가 많은건 사실
qwerty0000 2021.04.16 15:26
[@ㅇㅇ] 선구자가 원탑이지 맨땅에서 지금의 프로게임 팀게임 시대를 시작한건데...
123 2021.04.16 15:35
[@qwerty0000] 조선건국은 이성계인데 최고의 왕은 이성계라고 하는사람도잇고 다른왕이라는 사람도 잇죠
다 납득이가는 얘기들이니 그냥그런가보다 생각하고 넘어가면될듯
스티브로저스 2021.04.17 07:07
[@qwerty0000] 선구자는 의외로 시간이 지나가며 잊혀지는 경우가 많아요. nba라는 시장에서 첫 우승을 한 mvp는 기억하는 사람이 드물어도 nba가 흥행했을 때의 마사장은 레전드로 기억되는 것처럼요.
zzxc 2021.04.16 13:59
해외선정이라.. 해외 인지도 생각하면 페이커가 1위 하는 것 납득감
한국에선 e스포츠 초창기부터 보던 20대후반~30대들은 닥 임요환, 롤만 본 20대 중반까진 페이커 고를 듯
sds 2021.04.16 14:43
무릎없나..ㅋㅋ 철권이 워낙 고인물에 인기가없어 근가
4wjskd 2021.04.16 17:13
홍진호는 없네
Kkaasa 2021.04.16 19:20
쌈장 없네
larsulrich 2021.04.16 22:59
페이탈이 3위!
페이커도 게이밍용품에 아이디좀 빌려줬으면
대박날텐데 아쉽네요
스티브로저스 2021.04.17 07:10
페이커가 레전드인 이유는 통상 2년 정도가 전성기이고 그 이상가면 피지컬상 어린 선수들한테 밀려서 결국 은퇴를 하는 현재 게임계에서 8년이란 시간이 넘게 탑티어를 유지하고 있는 것도 커요.
테니스로 치면 나달,페더러고 축구로 치면 메시,호날두거든요.
오만과편견 2021.04.17 09:08
그냥 잘난선수들인데 굳이 순위에 임요환선수가 스타에선 탑인거고 롤에선 페이커선수인거라 생각하네요 분야가 다르고 시간이달랐을뿐..
다들 각자분야에서 1등하려고들 하시지 않습니까요?
정센 2021.04.18 12:28
임요환은 사실 시대를 잘탄것도 있지 실력도 물론 기본이지만 한참 피씨방 보급될 때 피씨방 가면 다들 스타하고 있어서 스타라는 게임 자체도 전성기였기도 하고 그 시기의 중심에 있었다는게 크지 이영호랑 데뷔시기가 바뀌었으면 이영호가 저 자리 가있을듯 ..
스포츠/게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