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교육을 보고 경악한 독일인들

한국의 교육을 보고 경악한 독일인들





















Comments 댓글 이미지 등록 : [이미지주소]

- 욕설, 비방, 어그로 댓글 작성 시 통보 없이 삭제됩니다. (신고 부탁합니다.)

초록버섯 2020.03.23 14:45
요즘 시국에 유럽 돌대가리들 보면 주입식 교육이 완전 나빴던 것은 아닌 거 같다..
사카타긴토키 2020.03.24 09:10
[@초록버섯] 이탈리아같은 나라는 교육 성과가 높은 나라가 아님. 유럽에서도 낮은 수준. 핀란드랑 독일이 대표적으로 교육 성취가 높은 나라임. 주입식 교육을 받은거랑 국민적인 유대랑은 별 상관이 없는듯. 그냥 유럽의 다양한 민족이 결합되고 다양한 교육수준 문화가 짬뽕된 특성이 하나의 국가적 목표로 뭉치는 힘을 약하게 하는거지. 우리나라 국민들의 좋은 특성을 왜 주입식 교육에서 찾는지 모르겠네 주입식 교육의 장점은 아무것도 없을듯.
사마쌍협 2020.03.23 17:10
독일은 경쟁위주의 교육이 만든 결과가 히틀러와 히틀러를 지지하던 대다수의 국민들이었으니까.
우리나라 교육을 보면서 예비 나찌 양성소로 보였을 수도 있지.
별빛 2020.03.23 17:27
애초에 좋은 대학을 나와서 좋은 직업을 가져야
사람대우를 받는다는 풍토가 없어지지 않는 한은
교육경쟁은 계속될 수밖에 없지.

저기 방청객으로 앉아있는 아줌마, 아저씨들 자녀들도
저 시간에 학원에 가있었을걸?
사카타긴토키 2020.03.24 09:18
사실상 좋은대학>좋은 직업>잘먹고 잘산다는 개념이 굉장히 희석된게 요즘 현실임. 기성세대에 자리잡은 전통적인 선입견이 아이들을 사지로 내모는거지. 학벌 좋다고 잘사는 세상은 이미 끝남. 수저를 잘 물고 태어나는게 유일한 무패의 해답이고. 대한민국에서 되기만 하면 무조건 억대 연봉 받는 직업이라면 사실상 의사 하나 남았다고 봐도 무리가 없음. 무리하게 아이들을 공부시키는건 교육기회에서 배제되거나 본인들이 성공하지 못한 부모들이 자신들 세대의 사회적 경험에 비추어 아이들을 통해 대리만족을 추구하고 과거 사회를 현재에 대입하는 시대착오적이고 이기적인 행위일 뿐임. 우리 시대에는 장래희망이라는게 인생의 꿈이나 목표가 아닌 직업으로 한정되어있었기에 더 그런 선입견이 심한듯. 요즘 아이들은 몇년을 살아야하는지 모르고 몇번의 직업적 변신을 하며 평생을 보낼지 모르는 세대인데, 고정되고 주입된 교육과 좁은 사고로 자란 애들이 살면서 다양한 변화의 흐름에 어떻게 대응할지는 미지수임. 그냥 건전한 경쟁에서 모두가 윈윈하는 구조가 아니고 서로가 서로를 비교해서 죽이고 고통주는 구조가 되어버린게 안타까운 현실.
인터넷이슈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추천
21480 상반기지났는데 역대최고치 찍었다는 국립중앙박물관 2025.07.07 860 1
21479 전국 코인노래방 초비상 댓글+2 2025.07.07 1266 5
21478 망한 지방대학교 근항 댓글+2 2025.07.07 1303 3
21477 한국 외국인 관광객 역대 최대 기록 댓글+4 2025.07.06 2070 3
21476 제한속도 지켰는데 사망한 사건 징역 4년 근황 댓글+7 2025.07.06 1608 1
21475 일본에 퍼지는 새로운 사회 현상...'유령집' 뭐길래 2025.07.06 1482 1
21474 폭염에 펄펄 끓는 지중해..."무섭다는 말로도 부족" 댓글+1 2025.07.06 1319 0
21473 9일 만에 또, 에어컨 켜두고 집 비운 사이 9살,6살 자매 참변 댓글+3 2025.07.06 1389 0
21472 SPC 사망사건 보고에는 "노동자 탓" 댓글+2 2025.07.06 1117 4
21471 창고형 약국에서 일한 직원들 단톡방에 신상 공유 유포한 약사들 댓글+2 2025.07.06 1157 1
21470 "죽고 싶지 않다"는 유서를 쓰고 숨졌다는 늦둥이 아빠 이재문씨 댓글+1 2025.07.06 1788 5
21469 역대급 불황이라는 인력시장 업계 댓글+1 2025.07.06 1729 2
21468 임원 출신 고스펙도 힘겨운 50대 취업난 댓글+2 2025.07.06 1447 3
21467 '막장 치닫는 혐오' 늪지대 '악어 알카트래즈' 임시 개장 2025.07.06 1258 2
21466 "체감 40도"...폭염 속 야외 작업 사투 2025.07.04 1997 3
21465 경북의 어느 주간보호센터 급식 댓글+1 2025.07.04 1910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