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감온도 50도...소방관 쓰러지는데 회복차량 부족

체감온도 50도...소방관 쓰러지는데 회복차량 부족


불이 완전히 꺼지기까지 엿새가 걸렸던 이천 쿠팡물류센터 화재.





구조대장이 순직했고, 탈진하는 대원이 속출했습니다.




휴식은 잠시 교대하는 순간 이뤄집니다.




땅바닥에 주저앉아 끼니도 때웁니다.




완진에 16시간이 걸린 울산 주상복합아파트 화재.





유독가스가 잔뜩 묻은 방화복을 입은 채 맨바닥에 지친 몸을 누입니다.






연일 불볕더위가 이어지는 요즘.
32도의 날씨, 방화복과 장비를 착용한 채 5분만 걸어도 체감 온도는 50도에 육박합니다.








이런 소방대원들을 위해 도입한 '재난회복 차량'입니다.
길이 16미터, 중량 30톤의 거대한 트레일러, 버튼을 누르면 공간이 더 넓어집니다.





한 번에 30명까지 쉴 수 있는 침대와 침낭, 에어컨과 공기청정기, 샤워기도 있습니다.






산소 공급 시설이 있어서, 탈진한 대원들에게 응급처치도 가능합니다.



그런데 이 차량은 영남과 호남, 전국에 딱 두 대뿐입니다.





트레일러형보다 작지만, 기동성이 뛰어난 버스형 회복차량도 있습니다.




내부를 개조해 만든 식탁에선 식사도 가능한데, 전국에 6대가 전부입니다.
5년 전, 서울시에선 1대를 처음 도입하면서 계속 늘리겠다고 했지만, 달라진 건 없습니다.









특히 찜통더위가 기승인 7~8월엔 소방관들이 탈진해 쓰러지는 일이 끊이질 않습니다.
'열돔' 현상으로 극심해진 폭염, 하지만 진화 현장에서 회복 차량을 구경조차 못해본 대원들이 대다수입니다. 

Comments 댓글 이미지 등록 : [이미지주소]

- 욕설, 비방, 어그로 댓글 작성 시 통보 없이 삭제됩니다. (신고 부탁합니다.)

꾸엥욱 2021.08.08 18:40
세금은 저런것에 써야지…
썩어빠진 공무원들 그만 늘리고
쎈과함께 2021.08.09 22:42
내 생각에는 회복 ..차량으로 하면.. 결국 공간 부족이다...제일 큰 회복차량도 몇명이나 들어가겠냐... 나머지는 밖에서 대기타나......그렇게 아니라..군용 텐트 처럼 만들어 주고 에어컨 빵빵하게 틀어주면 될거 같은데, 그 장비를 실은 트럭만 있으면 되는거고..
mplus 2021.08.10 11:25
[@쎈과함께] 이게 맞다 저게 맞다 상황인가 '부족'이라는거에 중점을 둬야할 상황인데
이런 댓글이 물타기지 쌈붙이기 딱좋은 댓글
인터넷이슈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추천
6735 중고거래 하러 왔다가 진품명품 찍은 비정상회담 마크 테토 집 댓글+4 2020.04.10 12:54 8623 6
6734 고통받는 편의점 유튜버 댓글+8 2020.04.10 12:40 7568 4
6733 군대 핸드폰 발언으로 욕먹었던 남자 댓글+5 2020.04.10 12:27 7058 5
6732 우즈베크 "누가 진정한 친구인지 알았다" 댓글+5 2020.04.10 12:18 7352 5
6731 병영 아파트 대장 댓글+5 2020.04.10 12:15 7999 4
6730 신고하면 부자 된다는 그녀만의 논리 댓글+2 2020.04.10 12:14 7993 8
6729 항암치료 받는 아내를 기다리는 남편 댓글+2 2020.04.10 11:58 6802 9
6728 현직 프로듀서가 이야기하는 아이돌 멤버와의 음반작업 댓글+1 2020.04.10 11:56 7759 8
6727 당신이 사진 기자라면, 구할 것인가? vs 찍을 것인가? 댓글+2 2020.04.10 11:55 6671 3
6726 메르스 때 징계 당했던 사람 댓글+14 2020.04.09 16:05 10444 31
6725 NO투표와 무효표의 차이 댓글+33 2020.04.09 13:03 11193 33
6724 n번방 피해자 지원금 팩트체크 댓글+6 2020.04.09 12:33 7985 5
6723 구라치다 걸린 기자 댓글+8 2020.04.09 12:29 7978 7
6722 트위터 CEO, 코로나 대응에 1조2천억 기부 댓글+5 2020.04.09 12:19 6345 10
6721 대구시, 정부지원금 쌓아놓고…고생한 납품업체엔 "기다려" 댓글+22 2020.04.09 12:17 6403 12
6720 코로나 때문에 40년만에 볼 수 있게 된 히말라야 산맥 댓글+9 2020.04.09 12:05 7996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