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년만에 밝혀진 죽음

42년만에 밝혀진 죽음


 

군대에서 사망한 지 42년 만에 가려져 있던 한 죽음의 이유가 밝혀졌습니다. 평발이던 해당 병사가 훈련에서 종종 뒤처지자, 매일 군홧발로 차이고 맞는 등 가혹행위에 시달렸단 증언이 나온 겁니다. 진실이 밝혀지기까지는 40년이 넘도록 포기하지 않고 싸워온 누나가 있었습니다.



68살 이춘자 씨는 남동생의 발을 그려 가슴에 품고 다닙니다.
42년 전 동생의 죽음을 풀 수 있는 유일한 단서로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심한 평발에다 발바닥이 해바라기 같다고 했습니다.






춘자 씨의 동생 고 이용태 일병은 1978년 1월 입대해 훈련 강도가 높은 제13특전여단에 배치됐습니다.

입대 1년 4개월 뒤, 이씨의 사망 소식이 전해졌지만 가족들은 시신도 제대로 보지 못했습니다.


그날 바로 한 줌의 재가 됐습니다.







당시 군은 이씨가 10km 왕복 무장 구보를 마치고 부대 화장실에서 극단적인 선택을 했다고 밝혔습니다.

믿을 수 없던 아버지는 3년 가까이 사망 신고도 할 수 없었습니다.




군사망사고진상규명위원회는 지난달 고 이용태 일병의 죽음이 군대 내 가혹행위와 지휘관의 감독 소홀 탓이었다고 결론냈습니다.




당시 부대 동료들은 평발이던 이 일병이 단체 달리기에서 종종 뒤처지자 '매일 군홧발로 차이고 맞았다'고 증언했습니다.








이른바 평발, '편평족' 판정이 징병검사에선 빠졌고 입대한 뒤에야 판명이 난 것도 드러났습니다.

지휘관들은 "병적 기록표를 볼 수 없어 평발인지 몰랐다"고 둘러댔습니다.





규명위는 결정문에 이 씨의 죽음을 '사회적 타살'로 기록했습니다.




군 내 철저한 무관심과 방임, 가해행위가 있었다고 적었습니다.

위원들은 당시 부대에 책임이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억울한 죽음이 42년 만에 풀어진 겁니다.



춘자 씨는 동생에게 새 전투화를 전해주고 싶다고 말합니다.




국방부는 곧, 고 이용태 일병에 대한 순직 여부를 결정합니다.

Comments 댓글 이미지 등록 : [이미지주소]

- 욕설, 비방, 어그로 댓글 작성 시 통보 없이 삭제됩니다. (신고 부탁합니다.)

larsulrich 2021.09.01 18:50
1987부대 선배셨네. 군대참 변한게없다
스카이워커88 2021.09.02 10:22
이런거 많아요 누락되고 자대가서 밝혀지고 중도에 전역이나 돌려보내지 못하니까 고스란히 병사들끼리 피해보고 다툼 생기고 당사자는 더 괴롭고
인터넷이슈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추천
12561 D.P 원작자분에게 온 인스타 메시지 댓글+9 2021.09.01 16:02 12087 25
열람중 42년만에 밝혀진 죽음 댓글+2 2021.09.01 16:01 6758 8
12559 윤창호 법은 없었다. 댓글+8 2021.09.01 15:54 7015 16
12558 Dp 드라마 해외 시청자 반응 모음 댓글+24 2021.09.01 15:46 10588 15
12557 전과14범 연쇄살인범의 범행 이력 댓글+5 2021.09.01 15:42 5275 5
12556 미군이 철수 하자마자 아프간군이 탈레반에게 털린 이유 댓글+13 2021.09.01 15:40 6597 8
12555 필리핀 시골마을까지 침투한 한류 댓글+7 2021.09.01 15:38 7547 14
12554 무보험 음주 차량에 치인 행인 댓글+1 2021.09.01 15:35 5406 5
12553 아이오닉 유령가속 무상수리...늑장 대응 논란 댓글+5 2021.09.01 15:26 5170 2
12552 미국 로봇 대여 사업 인기 댓글+5 2021.09.01 15:23 5237 4
12551 테마파크 개장 앞둔 동부산 관광단지 근황 댓글+3 2021.09.01 15:17 4795 2
12550 한국의 아프간 구출에 대한 대만의 보도 댓글+10 2021.09.01 15:12 6662 12
12549 월 천씩 버는데도 타일기술공들이 없는 이유 댓글+10 2021.09.01 14:50 6849 5
12548 폭동유발수준을 넘어선 중국의 빈부격차 댓글+10 2021.08.31 15:37 8850 5
12547 보행자를 신고한 차량운전자 댓글+34 2021.08.31 15:26 9425 13
12546 필요 없어진 학교 강당 리모델링 모범 사례 댓글+5 2021.08.31 15:24 11713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