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동유발수준을 넘어선 중국의 빈부격차

폭동유발수준을 넘어선 중국의 빈부격차




베이징 중심가의 한 백화점.




건물 전체가 에르메스, 샤넬 등 명품 매장들로 채워져 있습니다.




코로나에도 지난해 중국의 명품 소비 규모는 63조 원에 달했습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이 가운데 4분의 1을, 1만여 명에 불과한 중국의 슈퍼리치가 쓰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지난해 재산이 340억원이 넘는 중국인은 7만 명, 5년 만에 4만 명이 늘었습니다.

IT기업의 성장으로 새로운 부자가 나오고 부동산 등 자산 가치가 상승한 결과입니다.



하지만 성장의 그늘도 짙어졌습니다.





지난 6월 상하이의 아파트 한 채에 39명이 모여 살다 적발된 건 빙산의 일각.

치솟는 집값을 감당 못해 건물 지하실에서 여러 명이 함께 사는 '생쥐족'이 수십만 명입니다.




 

아예 도시 외곽에 토굴을 파고 사는 사람도 있습니다.










상속세와 부동산 보유세가 없다 보니 부의 대물림까지 확산되면서 불평등 지수가 폭동 유발 수준을 넘어섰다는 보고서가 나올 정도입니다.







중국 젊은이들 사이에는 열심히 일해봤자 착취만 당한다며 "누워서 아무 것도 안 한다"는 뜻의 '탕핑주의'가 유행하고 있습니다.




시진핑 국가주석이 최근 '공동부유'를 천명한 것도 양극화가 체제 불안 요소가 될 수 있다는 판단 때문입니다.






평등을 핵심 이념으로 하는 사회주의 국가에서 양극화 대책을 마련해야 하는 모순된 상황은 중국식 사회주의 40년의 결과이자, 내년 재집권을 노리고 있는 시진핑 주석이 직면한 현실입니다.


https://imnews.imbc.com/replay/2021/nwdesk/article/6296807_34936.html

Comments 댓글 이미지 등록 : [이미지주소]

- 욕설, 비방, 어그로 댓글 작성 시 통보 없이 삭제됩니다. (신고 부탁합니다.)

꽃자갈 2021.08.31 16:01
톈안먼 어게인!
스티브로저스 2021.08.31 16:19
중국식 사회주의는 목적과 수단이 완전히 괴리되어 목적도 잃고 수단도 부적합한 수단을 채택했지.
사회적 불평등과 경제가지 배분의 불균형을 깨기 위해 등장한 것이 사회주의였는데
중국은 생산 수단의 공동 소유를 버리고 자본주의적 마인드를 적극 채택하여 
외적 성장을 꿈꾸면서 자본주의 국가보다 더 극단적인 불평등과 경제가지 배분의 불균형을 야기했다는 점에서
체제의 모순을 드러내고 있지
ooooooo 2021.08.31 17:57
상속세 는 요즘 유럽을 중심으로 말이 많이 나오고 있지 좀 오래대고 세계적인 기업은 거의 가 가족기업이거나 아시아의 재벌들 이라 국민기업을 만들던가 상속세 보다 보유세를 만들어서 기업을 유지 하자고
Randy 2021.08.31 18:58
중국은 어느새 사회주의에서 북한식 독재로 변한듯
gottabe 2021.08.31 20:03
공동부유 = 정권연장 + 대기업 삥뜯기 좋은 구실
지금은 이정도로 해석하는게 적절할 듯 싶어요
머리는반일하반신은 2021.08.31 21:19
조선족 들아 모국이 저래서 우짠다냐
umbrella 2021.09.01 05:31
중국에서 1만명이면 0.0000066%인데 걔네가 사치로 몇십조를 쓴다니 ㅋㅋㅋ
그리고 6억명 월수입이 10만원대는 충격이네
정센 2021.09.01 10:15
독재정권이 양극화를 그냥 냅두는 건 다같이 잘살아서 여러사람한테 돈 뜯는것보다 한두명 잘살게 해서 한명한테 돈 뜯는게 원성도 안사고 티도 안나고 많이 뜯을수 있기 때문 ..
이동갈비 2021.09.01 12:19
남 걱정 할때냐?
네온 2021.09.01 20:40
사회주의 국가체제로 통제하지 않았으면 진짜 폭동일어나고 난리도 아니었겠지.
인터넷이슈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추천
12556 미군이 철수 하자마자 아프간군이 탈레반에게 털린 이유 댓글+13 2021.09.01 15:40 6437 8
12555 필리핀 시골마을까지 침투한 한류 댓글+7 2021.09.01 15:38 7387 14
12554 무보험 음주 차량에 치인 행인 댓글+1 2021.09.01 15:35 5261 5
12553 아이오닉 유령가속 무상수리...늑장 대응 논란 댓글+5 2021.09.01 15:26 4967 2
12552 미국 로봇 대여 사업 인기 댓글+5 2021.09.01 15:23 5042 4
12551 테마파크 개장 앞둔 동부산 관광단지 근황 댓글+3 2021.09.01 15:17 4622 2
12550 한국의 아프간 구출에 대한 대만의 보도 댓글+10 2021.09.01 15:12 6526 12
12549 월 천씩 버는데도 타일기술공들이 없는 이유 댓글+10 2021.09.01 14:50 6697 5
열람중 폭동유발수준을 넘어선 중국의 빈부격차 댓글+10 2021.08.31 15:37 8680 5
12547 보행자를 신고한 차량운전자 댓글+34 2021.08.31 15:26 9227 13
12546 필요 없어진 학교 강당 리모델링 모범 사례 댓글+5 2021.08.31 15:24 11563 26
12545 소방차 우선 신호 도입 댓글+6 2021.08.31 15:21 7627 13
12544 할머니는 교복을 빨아두었다. 댓글+10 2021.08.31 15:18 6582 6
12543 당근마켓 현피 댓글+7 2021.08.31 15:17 7243 3
12542 외국인이 직접 여행하고 느낀 북한과 남한 댓글+5 2021.08.31 15:16 5983 8
12541 분노를 넘어, 너무나 절망적인 최근의 범죄 사건들 댓글+14 2021.08.31 15:08 7351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