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호랑이가 새겨진 금메달과 치우천왕이 그려진 은메달.

한국조폐공사가 동전 사용이 갈수록 줄어드는 상황에 대비해 사업 확장을 목표로,
지난 2016년부터 판매한 '불리온 메달'로 사업 매출액은 첫해 22억 원에서 지난해 765억 원까지 늘었습니다.


문제는 A 업체가 지난해 9월부터 11월까지 모두 26차례에 걸쳐 194억 원어치를 구매한 뒤
대금 납부 기한을 지키지 못하면서 발생했습니다.

당시 A 업체 대표는 조폐공사에
"환율 변동에 따른 영업 손실 발생으로 물품대금을 단기간에 지급하는 건 불가능하다"고 통보했습니다.
조폐공사의 대응은 어땠을까?

조폐공사 정관과 임직원 행동강령을 보면 현저한 손실이 염려되는 사고가 발생했을 경우
즉시 감사실에 보고하고 경영전략회의와 일상감사를 통해 대책을 마련해야 합니다.

하지만 당시 류 모 부사장과 강 모 사업이사, 사업처장, 불리온 메달팀장 등은 이를 어기고 사태 무마에 나섰습니다.

류 전 부사장 등은 이 같은 사실을 감사에게 보고하지 않은 채 공사 소속 변호사의 구두 자문만 받은 뒤
10년 장기 상환 조건으로 채무 변제 계약을 결정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류 전 부사장은 사업처장과 불리온 메달팀장에게
"당분간 관련 내용을 함구하라"고 지시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이때 불리온 메달팀장은 재무팀장이 매출 채권 미회수 사실을 알게 될 거라고 답했습니다.

그러자 류 전 부사장은 재무팀장을 불러 "단순 입금 지연"이라는 허위 내용을 전달했습니다.

이후 지난해 12월 말, 채무변제계약이 체결됐습니다.
하지만 이사 전결로 진행돼 조폐공사 사장이나 감사실엔 보고조차 되지 않았습니다.

결국, 지난 1월 조폐공사 이사회에서 153억 원을 회수하지 못할 수 있는 금액인 대손충당금으로 설정했습니다.
지난해 조폐공사 전체 대손충당금 154억4천7백만 원의 99%에 달하는 금액입니다.
이로 인한 전체 영업적자는 142억 원에 달합니다.

지난달까지 A 업체가 갚은 물품 대금은 6억 9천만 원.
조폐공사 측은 해당 업체에 대해 매달 경영 현황을 점검하는 등
미회수 채권을 전부 회수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https://youtu.be/EC1Vx-lFu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