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에서 가장 비싼 물감인 울트라 마린의 만들어지는 과정

세계에서 가장 비싼 물감인 울트라 마린의 만들어지는 과정



파란색은 우리에게 늘 있는 것 같지만, 하늘의 푸른색을 건져 올릴 수 없으며,

바다와 호수, 강의 푸른색도 만질 수 없습니다.




자연에서 파란색을 띄는 꽃과 새들이 눈에 들어오는 것은 그만큼 파란색을 띄는 동식물이 적다는 소리입니다.

포유류의 경우에는 파랑은 땅에서 보호색의 역할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가지고 있지 않는 색상입니다.

인간에게서 파란색이 나오는 경우는 멜라닌 색소가 부족해서 나오는 벽안 뿐입니다.




덕분에 파란색을 접하기 어려웠던 지라 고대 선사 시대의 미술 작품에는 파란색이 빠져 있으며,

많은 언어들이 파란색을 지칭하는 단어를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그런데, 이 고귀한 파란색을 품고 있는 돌이 있습니다.




라피스라즐리 바로 청금석입니다. 고대 아프가니스탄에서 발견되었지요.

아프가니스탄의 청금석은 지금으로 3,000년전 고대 이집트에 까지 전해져서

투탕카멘의 황금마스크을 장식하는 용도로 쓰였지요.




19세기 인공 울트라마린이 개발되기 전까지, 이 청금석으로 만들어진 안료는 가장 비싼 안료였습니다.

가격이 금과 맞먹는 수준이었습니다.

현재도 가장 비싼 물감 안료로서 kg당 1,500만 원 정도에 달한다고 합니다.




땅에서는 파란색을 거의 볼 수 없는 환경에서 청금석은

당시 사람들에게 유일하게 만질 수 있는 파란색 물체였던 셈 입니다.




울트라마린의 파란색은 매우 귀한 색이므로,

예수나 성모마리아를 그리는 성화나 신분이 높은 귀족, 왕족들을 그릴 때만 사용되었다고 합니다.




귀한 청금석을 울트라마린 물감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청금석을 잘게 쪼개야 합니다.

청금석을 잘게 쪼개면, 선명한 파란색의 가루가 완성되며,

여기에 기름과 왁스 등을 섞으면 파란 물감이 만들어지게 되는 것 입니다.




청금석이 파란색을 띄는 이유는 유황 성분 때문인데, 보통의 유황 성분은 노란색을 띄고 있습니다.

하지만, 46억년부터 진행된 지구 내부의 지질 활동과 열로 인하여,

독특하게 황 원자들이 배열되면서 파란색을 띄는 청금석이 만들어지게 됩니다.


지구의 맨틀에서 만들어지는 청금석은 마그마 분출 등으로 지상으로 나왔고,

청금석의 황 원자 성분들이 가시광선의 파란 부분을 반사하면서 우리 눈에는 파란색으로 보이게 되는 것입니다.

Comments 댓글 이미지 등록 : [이미지주소]

- 욕설, 비방, 어그로 댓글 작성 시 통보 없이 삭제됩니다. (신고 부탁합니다.)

뷰GG굿 2019.09.29 19:10
오호...
카미야마 2019.09.30 14:43
정작 게임등에서는 별 가치도 없는 돌맹이...
신선우유 2019.10.01 02:26
꼭 저걸로 만들어야 되는거에요??
밤에떠들지맙시다 2019.10.01 04:58
색이 없다잖소 그시대에
인터넷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