멸종위기 여우 방사량 급증

멸종위기 여우 방사량 급증



지난 주말 저녁, 안동댐 주변 산책로에 동물 한 마리가 주인도 없이 서성이고 있습니다.

유기견이겠거니 생각했던 목격자는 털이 풍성한 꼬리를 보고, 강아지가 아닌 여우라는 사실을 알았습니다.




확인 결과, 이 여우는 소백산에서 지난달 방사한 토종 붉은여우였습니다.





붉은여우는 전 세계 곳곳에 서식하고 있지만, 국내에서는 과거 '쥐잡기 운동'으로 개체수가 급감했고, 

지금은 멸종위기 야생동물 1급으로 분류돼 보호받고 있습니다.




 


하지만 붉은여우 복원사업이 10년째를 맞으면서 최근 개체 수가 크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2012년부터 2016년까지 15마리밖에 태어나지 않았던 새끼 여우가, 최근 3년 동안 101마리나 태어났고, 

이 덕분에 방사 여우도 올해 30마리를 포함해 최근 3년간 98마리로 크게 늘었습니다.




하지만 현재까지 야생에서 살아 있는 방사 여우는 모두 90마리, 생존율은 61%에 불과합니다.


민가 주변에서 쥐 등을 잡아 먹고 사는 여우의 특성상, 

로드킬을 당하거나 불법으로 쳐놓은 덫과 올무에 걸려 죽는 경우가 적지 않기 때문입니다.




국립공원연구원 중부보존센터는 2026년까지 야생에서 100마리의 여우가 살아갈 수 있게 하겠다는 계획입니다.


https://imnews.imbc.com/replay/2021/nwdesk/article/6324278_34936.html

Comments 댓글 이미지 등록 : [이미지주소]

- 욕설, 비방, 어그로 댓글 작성 시 통보 없이 삭제됩니다. (신고 부탁합니다.)

스티브로저스 2021.12.17 10:43
자연상태에서 멸종 위기에 간 개체들을 격리하여 보존하지 않고 굳이 야생에 풀어야할 이유가 있나?
조로리 2021.12.17 11:21
[@스티브로저스] '자연상태'에서 멸종 위기에 간게 아니기 때문..^^
Agisdfggggg 2021.12.17 11:29
[@스티브로저스] 쥐잡기 운동으로 개체수 급감했다고 나와있네요
꼭 그것만이 이유는 아니겠지만 인간때문인것은 맞을듯
날닭 2021.12.17 11:31
개체수가 급증한거보니 밀수업자가 제대로 가르쳐줬나보네요.
신선우유 2021.12.17 21:23
뢘지 북한에 많이 살고 있을거 같은데..
인터넷이슈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추천
13583 플러스 사이즈 모델의 진실 댓글+4 2022.01.04 17:16 4480 3
13582 철책이 자꾸 뚫리는 이유 댓글+12 2022.01.04 17:14 4391 7
13581 2만 2천 볼트 고압전류에 타버렸다...38살 예비신랑 김다운 씨의 … 댓글+10 2022.01.04 17:13 3586 3
13580 신고없어도 학폭 바로 조사한다 댓글+11 2022.01.03 17:09 3971 1
13579 죽어가는 자식을 위해 약을 만든 아빠 댓글+6 2022.01.03 17:03 4548 10
13578 막 시장에 선보인 최신 LG 전자기기를 사용하는 곳 댓글+3 2022.01.03 17:01 5397 4
13577 성북구 간호사 태움 영상 댓글+8 2022.01.03 17:00 5364 4
13576 부동산 가격 생각해서 이혼하는 사람들 댓글+12 2022.01.03 16:59 4725 5
13575 일리야가 귀화시험 볼 당시에 틀린 단 하나의 문제 댓글+5 2022.01.03 16:58 5052 9
13574 마라도의 고양이들 댓글+4 2022.01.03 16:57 3931 8
13573 오늘 아침 난리난 1880억 횡령사건 댓글+7 2022.01.03 16:55 3920 0
13572 호랑이 우리에 팔 넣다 '중상'…장난 때문에 죽은 호랑이 댓글+2 2022.01.02 17:14 5130 5
13571 609kg 사우디 남성, 10년 만에 550kg 감량 댓글+4 2022.01.02 17:13 4587 2
13570 입사 한달만에 아파트관리비 1.2억원 횡령한 경리 댓글+1 2022.01.02 17:11 4102 2
13569 제주 중산간에 들개 2천여 마리 서식…"사람까지 위협" 댓글+6 2022.01.02 17:10 4240 5
13568 군대 대민지원 논란 댓글+12 2022.01.02 17:09 4470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