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간 계층 상승 '10명 중 2명 미만'…소득 이동성 감소세

연간 계층 상승 '10명 중 2명 미만'…소득 이동성 감소세


 

한 해 동안 소득이 늘어 계층이 상승한 국민은 10명 중 2명도 안 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소득 이동성은 2020년 증가한 이후 줄곧 감소세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통계청은 2017년부터 2022년까지 소득이동 통계를 개발해 처음으로 발표했습니다.


국세청 소득자료 등 데이터를 결합해 표본 약 1,100만 명의 소득을 조사한 결과입니다.


1년 전과 비교해 소득분위가 올라가거나 내려간 사람의 비율을 뜻하는 소득 이동성은, 2020년 35.8% 이후 2021년 35%로 내려갔고, 2022년에는 34.9%로 더 떨어졌습니다.


그만큼 사회의 계층 이동성이 줄고 있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2022년 소득분위 이동자 중 계층이 상승한 사람은 17.6%, 하락한 사람은 17.4%였습니다.


계층이 상승한 사람이 10명 중 2명도 안 된다는 뜻입니다.


소득 기준 등이 달라 직접 비교는 쉽지 않지만, 캐나다의 경우 소득분위 이동률이 20~30% 수준입니다.


2022년 소득분위별 유지비율을 보면 가장 소득이 많은 계층인 5분위가 86%로 가장 높았습니다.


즉, 2021년 5분위였던 사람 10명 중 약 9명이 그다음 해에도 소득 계층 하락 없이 5분위 지위를 유지했다는 뜻입니다.


5분위 소득분위 유지 비율이 높은 것은 다른 분위에 비해 진입이 어렵고, 일단 진입에 성공하면 하위 계층으로 떨어질 확률도 적기 때문입니다.


최빈곤층인 소득 1분위의 소득분위 유지비율은 69.1%로 5분위에 이어 두 번째로 높았습니다.


소득 하위 20%에 속하는 사람 10명 중 7명이 그다음 해에도 같은 계층에 머물렀다는 뜻입니다.


4분위와 3분위의 소득분위 유지비율은 65.6%, 54.7%였고, 2분위는 49.9%로 유일하게 50%를 밑돌았습니다.

Comments 댓글 이미지 등록 : [이미지주소]

- 욕설, 비방, 어그로 댓글 작성 시 통보 없이 삭제됩니다. (신고 부탁합니다.)

인터넷이슈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추천
21018 건강보험금 46억 '꿀꺽'... 덜미 잡혔지만 은닉 '무죄' 댓글+2 2025.02.10 3733 10
21017 “'나 시의장 아들이야'라며 짐승처럼 물었다” 식당서 난동 부린 40… 댓글+3 2025.02.07 3702 5
21016 탄핵 반대 단상 선 10대들 '같은 교회' 댓글+16 2025.02.07 3615 4
21015 "대왕고래' 경제성 없다" 첫 시추부터 실패 댓글+9 2025.02.07 2672 7
21014 90원에 우르르 몰린다…"모든 게 불안" 대국민 절망 댓글+1 2025.02.07 3668 1
21013 사그라든 부동산 열기에...집주인들 줄줄이 "가입하자" 2025.02.06 3257 3
21012 "군청에 미운철 박힌 거지" 한 곳에만 내린 '황당 처분' 댓글+6 2025.02.06 2781 6
21011 부사관이 병사 휴대전화로 몰래 대출 댓글+4 2025.02.06 2662 3
21010 어둠의 개통령 근황 댓글+12 2025.02.06 4106 3
21009 홀 서빙하던 사장님 뒤에 서있다가 부딫혀서 전치16주 부상입은 여성손… 댓글+1 2025.02.06 3018 2
21008 시드니에서 벌어진 한국인 인종차별 폭행 사건 댓글+3 2025.02.06 2763 3
21007 15억 인조잔디 운동장 완공 직후 드리프트로 짓뭉개버린 ev6 댓글+4 2025.02.05 3614 5
21006 5천억 규모 마약 밀반입 사건을 수사한 경찰의 최후 댓글+9 2025.02.05 3741 26
21005 OECD 국가 중 1위...심각한 노인 빈곤 실태 댓글+2 2025.02.05 2744 1
21004 서 있던 빙판, 순식간에 깨졌다...초등생 1명 '참변' 2025.01.29 8447 3
21003 정부 사칭 온라인 광고 대행사 댓글+4 2025.01.28 7371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