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할리우드에서 핫한 주제

현재 할리우드에서 핫한 주제










 

 

그 외 마블을 까는 수많은 영화 관계자들


 

 

지난 몇 년간 범람한 슈퍼히어로 영화에 사람들이 피로를 느끼길 바란다. SF 장르는 가족은 없고 과격한 남자들이 두 시간 동안 전투를 벌이면서 도시를 파괴하는 것 말고도 할 이야기가 많다.

 

- 제임스 카메론-

 

 

 

슈퍼히어로물은 서부극 장르의 길을 따라가게 될 것이다. 우리는 서부극 장르가 죽은 시대에 살고 있다. 서부극이 쇠락의 길을 걸었듯이 슈퍼히어로 무비도 서부극과 같은 방식으로 사라질 것이다.

 

- 스티븐 스필버그-

 

 

 

이제는 영화 관람이 놀이공원에 놀러 가는 것과 다르지 않다. 대중과 주주들에게 어필하기 위해 스튜디오들이 질 나쁜 콘텐츠를 만들어내고 있다. 석유를 파내기 위해 지구를 상하게 하는 일과 똑같다. 당장은 최고의 수입을 올리겠지만 결국 전 세계인들의 영화 보는 안목을 망칠 것이다. 내가 영화를 만드는 이유는 내가 누구인지 깨닫고 더 나은 사람이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 조디 포스터-

 

 

 

 

일반적으로 텐트폴 영화들은 영화라고 할 수 없다. 그것들은 2년 후에 당신에게 후속편을 팔고자 하는 2시간짜리 예고편일 뿐이다. 슈퍼히어로 영화는 너무 많은 캐릭터가 나온다. 한 캐릭터가 등장하는 시간은 고작 6분 30초 정도다. 120분 중 45분이 액션, 나머지 히어로가 6개의 분량을 나눠가진다. 만화책이나 마찬가지다.

 

- 제임스 맨골드-

 

 

 

 

마블 슈퍼히어로 영화는 내가 그간 만들었던 작품들보다 훨씬 폭력적이다.

 

- 멜 깁슨-

 

 

 

 

10년 전 나왔던 <배트맨>, <슈퍼맨> 영화들은 정말 멋졌다. 신선했고 새로운 감독들이 만들었다. 그런데 그다음 <배트맨>이 12편까지 나왔다. 이 히어로와 저 히어로가 있는데 복잡하게 얽히다 보니 길을 잃었다. 솔직히 창작물이라기보단 상업물 같다. 지나치게 기계적이고 산업적이다. 그래서 싫다. 이젠 신선함이 없다. 히어로물은 대부분의 경우 미국의 우월주의와 어떤 식으로 세상을 지키는지를 보여준다. 불쌍한 사람들은 '오! 슈퍼히어로가 오고 있어'라고 하는데, 그런 게 싫다.

 

- 뤽 베송-

 

 

 

 

멍청이 같다. 많은 마블 영화에서 사람들은 웃긴 슈트를 입고 뛰어다닌다. 난 망토를 두른 슈퍼히어로 의상 같은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 내가 독일에서 자라서 그런지 잘 공감이 안 된다.

 

- 롤랜드 에머리히-

 

 

 

재능 있는 사람들이 상당히 많은데 마블 같은 곳은 그런 사람들을 키울 토양이 안된다.

 

- 데이빗 핀처-

 

 

 

 

“정말 기초적이고 단순한 데다 오로지 재미를 추구하는 장르라 때때로 그런 영화를 본다. 하지만 문제는 히어로 영화들이 가끔씩 관객에게 ‘그리스 신화’ 같은 것에 근간을 둔 무언가를 심오하다는 식으로 주입하는 것이다. 나는 솔직히 이 행위 자체가 매우 우익적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그런 영화가 사람들의 신념을 죽인다고 생각하는데, 왜냐하면 그런 영화들 중 내가 믿고 있는 것의 반대의 입장을 취하거나 내가 되고자 하는 인간상의 상반되는 모습을 이상적이라고 비추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난 그런 게 정말 싫고, 그런 캐릭터를 보면 아무 반응을 하지 않는다. 현재 이런 ‘문화적 학살’이 사회 전반에 정말 나쁜 영향을 끼치고 있는데, 왜냐하면 관객들은 인간의 경험과 아무 상관이 없는 줄거리, 폭발, 그 외 잡다한 것에 과하게 노출되고 있기 때문이다.”

 

-알레한드로 곤잘레스 이냐리투-

 

 

 

 

“현대의 많은 액션 영화 중에서 마블 영화에 나오는 액션은 아무나 할 수 있는 것 같아 전혀 흥미가 생기지 않는다. 만약 우리 할머니가 주인공인 슈퍼히어로 영화를 만든다면, 대충 망토 하나 걸치고 스턴트 대역을 쓰면 될 것이다. 스턴트가 대부분의 액션을 소화해도 감쪽같으니 말이다. 그들은 2억 달러가 넘는 예산을 써가며 초록색 스크린에 모든 걸 의존한다. 사람이 아닌 CG가 모든 걸 하는 영화는 내게 진정한 액션 영화가 아닌 것 같다. 난 모든 걸 직접 소화하는 과거의 액션 스타들에게서 영감을 받아 왔다.”

 

-제이슨 스타뎀-

 

 

 

 

“슈퍼히어로 영화는 애들이나 보는 코믹스를 토대로 만들어졌고, 사춘기적 감성이 영화의 핵심인 장르다. 만약 누군가 [다크 나이트 라이즈]를 최고의 영화 예술로 칭한다면, 그 사람은 자기가 무슨 말을 하는지 쥐뿔도 모르는 인간이라 장담할 수 있다. 난 아직도 [배트맨] 시리즈는 배트맨이 멍청한 망토를 두르고 돌아다니는 영화라고 생각한다.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의 명작은 [메멘토]이며, 이런 영화야말로 진정으로 흥미가 있는 작품이라 할 수 있다. 배트맨 영화의 제작비는 메멘토의 20배 이상이지만 재미는 메멘토의 반도 못 미친다.”

 

-데이비드 크로넨버그​-

 

 

 

 

 

 

VS

 




























 

 

친마블파(DC는 망해서 얘기가 안나오는것뿐 사실상 히어로 영화라고 하는게 맞을듯) VS 반마블파....... 

Comments 댓글 이미지 등록 : [이미지주소]

- 욕설, 비방, 어그로 댓글 작성 시 통보 없이 삭제됩니다. (신고 부탁합니다.)

꽃자갈 2019.10.23 17:29
스티븐 스필버그는 깐다기보단 언젠가는 슈퍼히어로물도 인기가 죽진 않겠냐라는 발언으로 보임.

조디 포스터는 그래서 찍은 게 엘리시움이냐(...)

멜 깁슨은 아포칼립토 만든 주제에 어이없다.

롤랜드 에머리히는 인디펜던스 데이 만든 주제에 어이없다.


그래도 액션 연기에 대해선 제이슨 스타뎀은 저런 말 해도 된다
Hydeonbush 2019.10.24 15:08
[@꽃자갈] 돈에 대한 논의가 오가는 순간 예술이 아니라고 한 켄 로치 감독 -

30작이 넘는 작품으로 돈을 긁어 모음.





두 시간동안 전투를 벌이면서 도시를 파괴하는 것이 싫다는 제임스 카메론 대표작-

두 시간동안 외계 행성 때려부수는 '아바타', 슈퍼 강력한 몸짱이 나와서 도시를 부수고 다니는 '터미네이터'





대중과 주주들에게 어필하기 위해 스튜디오들이 질 나쁜 콘텐츠를 만들어내고 있다는 조디 포스터 -

'엘리시움', '님스 아일랜드' 주연(ㅋㅋㅋ)





2년 후 후속편의 2시간짜리 예고편이라는 제임스 맨골드 -

아이덴티티(시리즈물) 감독, 더 울버린,로건(슈퍼히어로 시리즈물) 감독





망토를 두른 슈퍼히어로가 싫다는 롤랜드 에머리히 -

망토없는 슈퍼히어로가 나오는 '2012' 만들어냄. '2012'에 나오는 아버지의 생존력은 가히 초인 수준.





CG나 스턴트로 하는 액션이 진정한 액션이냐는 제이슨 스타뎀 -

ㅇㅈ





크리스토퍼 놀란의 대표작은 다크나이트가 아니라 메멘토라는 데이비드 크로넨버그 -

ㅇㅈ 메멘토 쌉명작.
웅남쿤 2019.10.23 19:21
예술 영화는 예술영화고 상업 영화는 상업영화인거지,
어떻게 보면 문화컨텐츠의 상업성에서 볼때 지금까지 마블만큼 성공한 사례가 있나?
마블 영화가 영화판에 쫙 깔려서 지배를 하는 것도 아니고, 꾸준하게 예술영화도 나오고,
그들을 위한 예술적인 시상식도 있는데 뭘 걱정하시나...
숫너구리 2019.10.23 20:00
[@웅남쿤] 마블보다 성공한 사례많죠.
미키마우스, 스타워즈, 해리포터, 포켓몬.
일단 얘네들은 혼자서도 MCU 전체매출보다 더 높은 괴수들이고
그외에도 시대를 강타한 홍콩영화, 서부극
괴수물, 느와르 등등 얘들도 개별작품들 합치면 상당함.

단일 시리즈 기준이면 토이스토리나
분노의질주, 007시리즈 이런것도 널렸고
그리고 3대 영화제가 아니라 아카데미에서도
마블은 상하나 받은적 없음.
숫너구리 2019.10.23 19:46
영화는 영화인데 마블은 너무 원패턴이라 까는거.
걍 캐릭터 인기에 기대어 적당한 악역 던져주고
적당한 스토리 떡밥 던져주고
시밤쾅 시밤쾅 액션 몇번하면 끝인데..

서부극도 결국 몇몇 명작을 남기고 짜진것처럼
MCU도 몇작품빼면 다 불쏘시개확정.
아이언맨1이랑 윈터솔져정도만 장르의 대표로 기억될듯
ooooooo 2019.10.23 23:16
[@숫너구리] 마블에서 원액션은 없습니다 슈퍼로봇처럼 나올떄마다 업그레이드 하거나 바꿔서 나오죠
괜히 인피니티워 에서 타노스 가 1편에서는 그냥 주먹 2편에서는 칼로 싸우는 게 아닙니다
액션을 바꿀려고 작가들이 그렇게 바꾸는 거죠
신선우유 2019.10.23 21:05
진짜 영화가 아니란 뜻이 아니라 예술로서 제대로된 영화가 아니라는 뜻 아닐까? 이게 나라냐? 같은 느낌으로.. 마블 중에서도 어벤져스가 지루하지. 개별 캐릭터 영화는 서사가 있어서 난 괜찮던데
ssee 2019.10.23 21:23
글쓴이가 마블, DC에 대한 이해도가 떨어지는거 같은데..

내느낌은
히어로 영화역시 심리적 묘사가 있다. 그런데.

우리가 히어로 이전 봐온 영화는 우리가 꿈굴수있는 누구나 있을수 있는.
희망, 적인 부분이지만 마음한컨 가능성이 있는 이야기들 이였다고 생각함.

하지만 히어로는 단일임. 그 영화속 사람이 주인공이지.
우리의 직접적인 일상에서 있는 일들에 대해 감정을 공유하지 않음.

반면 DC는 왜 안까였는지 생각하면.
마블팬인 DC 영화를 절대로 즐겁게 못볼꺼라 생각하는데.
내가아는 선에서 베트맨 한정으로 인간적 묘사가 치밀하게 이루어져있음.
유톡 베트맨쪽이 그런 고뇌를 가지고 있지 않나싶음..


그런데 반대로 지금 일상이 그렇게 녹로치 않다고 생각함.
그냥 제 3자인 히어로 시밤쾅 하고 구해주길 바라는 마음에서 마블이 인기를 얻은거 아닐까함.
라떼포미 2019.10.23 21:40
예능에서 신파찾는것들이지 ㅉㅉ 꼭 진지빨고 비유와 암시 반전 풍자가 들어가야만 영화냐 . 그냥 신나게 즐기고 근심걱정 없이 즐거운영화도 좀있어야지
야잇 2019.10.24 07:57
솔직히 마블영화는 2번 보고싶다 이런영화는 없었긴 함
000r 2019.10.24 09:22
꼰대VS신세대
현대에서는 회화, 만화, 소설, 드라마, 영화의 의의가 무의미하지. "이런게 영화다, 이런게 소설이다" 이렇게 말할 수 있는 기준은 이제 없어진거나 마찬가지고 딱 하나 구분짓는 기준이 될 수 있는 건 작품이 창작이냐 아니면 뭘 보고 만들었냐 일 뿐이지, 만든 사람이 표현하고 싶은걸 어떻게 표현했는지는 이제 상관이 없음.
Aasse 2019.10.24 11:29
관객이 만족하고 즐겁고 그 안에서 영화의 순기능을 느끼면 된거지 뭐 마블은 영화가 아니다라고 말하는건 애바같은데 ㅋㅋ 그래봤자 지들이 만든영화보다 마블이 훨씬 영향력있고 인기있을텐데 징징거리는걸밖에 안보인다 ㅋㅋ
그림그려 2019.10.24 13:39
자본주의 세계에서 경제적으로 큰 성과를 거뒀다는 건 결국 대중의 니즈를 충족시켰다는 얘기임. 결국 상업성을 띈 대중예술에서 대중을 제외하고 예술만 논하는 건 무의미 함. 하지만 저들의 얘기 중에 스티븐 스필버그의 말은 와닿는다. 당장 나부터도 쏟아지는 히어로 무비에 피로를 느끼고 있고, 다른 영화를 찾고 있으니. 히어로 무비는 한 시대의 유행이었고, 그 유행이 서서히 저물어가고 있다.
앙야양아아 2019.10.25 15:01
? 어떻게 영화가 아닐수있지. 아이언맨이 마지막에.암 아연맨. 이 대사로도 처음과 끝을 관통하는 그의 모습. 슬픔을 느끼고.
캡아가 아이캔두디스올데이를 슈퍼솔저가 되기전에도 되고난후에도 언제든 하는 대사인데. 그의 강직함이 보이는데. 그런거만으로도 충분히 감동과 희열을 느끼는데 영화지. 도시 때려부시고. 상업성이 짙은건 맞지만 관객들로 하여금 새로운 경험을 하게 하는것이 영화지 뭐 다른게 영환가 싶음. 예술영화가 진짜영화라치면. "클래식이 진짜 음악이다. 현대음악은 음악이 아니다"라는 것과 같음
소금구이맨 2019.10.27 21:04
스타뎀 행님이 마블을 까는건 좀 아니지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히어로물만 아닐 뿐이지 히어로랑 다를게뭐여 ㅋㅋㅋㅋㅋ
카미야마 2019.10.28 13:29
영화를 예술로만 규정하려 하니 문제인건데
마블영화가 몇개를 제외하고는 그냥 보던거니까 보고 궁금해서 보는건 사실이지
재밌다고는 절대 못할게 한둘이 아님
인터넷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