능력대로하면 공정할까?

능력대로하면 공정할까?



















"Some people are born on third base and go through life thinking they hit a triple."


"어떤 사람들은 3루에서 태어났으면서도 자신이 3루타를 친 줄 알고살아간다." - 배리 스위처

Comments 댓글 이미지 등록 : [이미지주소]

- 욕설, 비방, 어그로 댓글 작성 시 통보 없이 삭제됩니다. (신고 부탁합니다.)

sishxiz 2021.02.08 20:25
공정하다는 착각
느헉 2021.02.08 20:59
암울하지만 진실이지.
불룩불룩 2021.02.08 21:29
[@느헉] 착각이라니까
오만과편견 2021.02.09 00:39
[@느헉] 세상에 빨강맵 사기 못들어보신?
메흥민 2021.02.08 21:17
철학자들 정말 멋지다 나도 진짜 저들의 반만이라도 깊어지고 싶다 ㅋㅋㅋ
이쌰라 2021.02.09 02:17
여기서 얻을 수 있는 교훈
잘 나간다고 자만하지 말고 뒤쳐졌다고 좌절하지 않을 것
yopggy 2021.02.09 11:12
"모든 사람이 '평등 또는 공정' 해야하고, 기회도 또한 '평등 또는 공정' 하게 받아야 한다"

그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잖아. 현실을 인정하는 게 먼저지.

자본주의 머시기를 다 떠나서 심지어 동물의 세계도 그렇게는 돌아가지 않고.

승자의 오만함은 사회 통념의 예의범절 이라는 걸로 커버할 수 있는 거고,

패자의 굴욕감은 사회 복지 시스템으로 해결할 수 있는 거 아니야?
캡틴아메리카노아이스 2021.02.09 13:13
타고난 재능 위에 운이 존재하는거지.

그사실을알면 더 성공하거나 부와 며예를 유지하는거고 모르고 자만하면 고꾸라지는거고

물론 운좋아서 고꾸라지기는커녕 더 올라갈수도 있지

일부 친일파후손들처럼
수컷닷컴 2021.02.09 18:57
운이 있었기 때문에 더 성공한거지 운이 없었다면 성공못했다는건 아니것같음
능력 유리하다라고 해야 맞는게 아닐까?
오룡룡이 2021.02.10 00:27
세상이 흉흉하니 별 쓰레기 같은 논리가 다 대접받네
능력대로 대접받는게 불공평하다는 사람들에게 묻고 싶다. 그럼 뭐에 따라 대접받아야 공정한 것인지?
불공정하다 불평등하다 라고 말만하지 말고 그럼 어떻게 해야 한다고 제시를 해줬으면 좋겠다
현대 자유 민주주의가 얼마나 섬세하게 얽혀서 지금에 이르렀는지 생각도 안하고 그저 본인이 가진게 없으니 가진사람의 성공은 죄다 운빨이다 부모빨이다 라고 치부해버리고 싶은거겠지
부모빨도 완벽한 자유민주자본주의에 따른 것이다.
왜냐면 노력하는 사람들 대부분이 본인 자손들도 잘 살게 하기 위해 노력하기 때문이지
도대체 무슨 근거로 어떤 논리로 부모의 업적에 따른 풍요가 부모대에서만 끝나야 하는 것인지?
운빨? 시대에서 대접받는 능력이 한둘이 아닌데, 그럼 본인은 그 운을 잡기위해 노력하지 않나?
승자의 오만함? 바람직하진 않지만 그건 승자의 자유지
굴욕을 느낀다는 사람들에게 반대로 묻고싶다.
남이 뭐라하던 본인 스스로 개의치 않고 자존감을 가지고 살아가면 되는 것 아닌가?
왜 기분 나쁘다는 이유로 개인의 감정까지 억제시키려고 하는지? 좋아하는 티를 못내도록 하는 법이라도 만들텐가? 진짜 불편함의 끝은 어디인지?
유토피아를 꿈꾸는 사람들은 공산주의와 똑같다
이런 쓰레기 논리에 동조하는 사람들에게 집밖에 있는 사람도 당신이 누리는 것일 가질 권리가 있다 라는 명분으로 정작 본인이 가진 것을 집 밖에 누군가와 조건없이 나누라고 하면 기겁을 할 사람들에 대부분일걸
저 전문가라는 사람 뭘 얘기하고자 하는 것인지 모르겠다
세상에 유토피아는 없기에 어느 사회나 불공정하고 어두운 면이 있는 법
하지만 현대자본주의 사회는 그중에 가장 나은 시스템이다
불평하고 문제를 제기하는 사람들은 그것에 그치지 말고 그럼 어떻게 하는게 좋겠다는 말도 함께 꼭 하길
daeqq 2021.02.10 00:58
[@오룡룡이] 제대로 이해 못했네.
능력주의로 돌아가긴하겠지만 그걸로 계급을 나눠서 받들어모실 이유는 없다는거임.  능력있어 성공한 사람들도 그렇지 못한 사람을 하대할 이유가 없다는거고. 쟤도 능력있는 사람은 대우한다고 했는데?  그냥 딱 이정도의 글임.

하긴 근데 너가 이렇게 읽은거보니깐 이 글 보고 운빨,부모빨 운운하면서 치부하면서 까내리는 사람도 많긴하겠네 ㅋㅋ

이거랑 별개로 우리나라는 일제강점기라는 특수성이 있어서 이건 좀 다른 문제긴하지만..
오룡룡이 2021.02.10 04:06
[@daeqq] 나는 일제 강점기에 일본에 부역하여 부를 축적한 것은 대한민국에서 인정 가능한 정당한 성과라고 보지 않습니다
친일은 아직까지 우리나라가 정리하지 못힌 청산해야 할 대상이죠. 지금이라도 제대로 청산해야 나라가 위기에 처했을 때 그와같은 민족반역자가 나타나지 않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제가 생각하는 능력에 친일유산은 제외합니다
제가 경계하는 것은 현 자유자본주의 하에서 능력에 따라 보상받는 것을 부당하다고 생각하는 아주 위험한 발상을 경계합니다
왜냐면 점점 사회주의로 방향을 틀게 되면 사회는 언제든지 공산주의의 유혹에 빠질 수 있기 때문이죠
사회적 약자를 보호하기 위해 복지를 확대하는 것과 저사람의 능력에 따른 성공은 불공정하다고 생각하는 것을 완전 다른차원의 문제예요
ssee 2021.02.10 01:05
[@오룡룡이] 님 착각하는게 있음.
민주주의가 어쩌구하는데
현재 교육 시스템은 잘하는사람을 뽑는 시스템이아니라
평균치에 가까운사람을 뽑는 시스템임.
이 시스템은 민주주의 라면서 모두평등한 기회하면서
  한쪽으로 치우쳐진 능력자들은 무시당하는 시스템이란것을 알아야됩니다.

이건 인재를 양성하는것보다.
실력없는 사람을 위해서 마련한 제도임.
대표적으로 현재 국회나 시장 또는 대기업 임원들 보면 실력이 없는 평준화된 사람들이
그자리를 꾀차면 얼마나 불행해지는지 알수있는사례는 널리고 널렸음

다른 예시로 아마추어인데 프로급 실력을 가진 사람이 있음.
오룡룡이 2021.02.10 04:23
[@ssee] 사회에서 대접받지 못하는 한쪽으로 치우친 능력자들이 도대체 누구죠? 그런식으로 따지면 능력없는 사람은 아무도 없습니다. 왜냐면 수천 수만년의 인류역사에사 언젠가는 그 뭔지 모를 현대사회에서 쓸데없는 능력이 빛을 발할 것이기때문이예요. 근데 그래서 그건 알겠는데 그래서 어쩌자는 것이죠? 모든 인간의 능력은 똑같으니 모두 동등하게 보상받는 유토피아를 꿈꾸세요?
자존감을 높히고 어떻게든 긍정적인 다른 방향으로 전환하는데 사회적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지 성과에 따른 보상 개념 자체를 흔들면 안됩니다
실력없는 대기업 임원? 물론 있겠죠. 근데 대부분의 임원은 실력이 있습니다. 그러니 그자리까지 간 것이죠. 완벽할 순 없지만 그 시스템 안에서 최선의 선택을 받는 것입니다.
그 임원이니 높은 사람들이니 허구헌날 비판하면서 이래서 안되 개혁해야 한다고 노래부르는 사람들 시키면 잘 할것 같죠? 더 아마추어 티 납니다. 현 정부 부동산 보세요. 자유시장경제에 대한 이해 없이 섣불리 건들었다가 역효과만 났잖아요.
다시말씀드리지만 성과에 따른 보상이 완벽하진 않겠지만 최선은 맞습니다
당신도 뭐가 이래서 문제니 이건 잘못됐어 하지만 정작 그래서 어떻게 하자라는 제시는 못하네요
돌쇠유 2021.03.31 01:13
[@오룡룡이] "성과에 따른 보상이 완벽하진 않겠지만 최선은 맞습니다"
도대체 글을 본거냐 만거냐? 르브론 제임스랑 역도 선수 사라 로블레스, 각 종목 최고의 위치임에도 누구는 연 1천억을 벌고 누구는 월 46만원의 보상을 받는 게 최선이냐?
둘 다 타고난 신체조건과 재능, 노력으로 최고의 위치지만 르브론은 경우 농구가 인기 종목인 시대에 태어나서 능력+운빨을 받고 있기 때문에 둘의 극명한 보상의 차이는 공정하지 않은 것이라고 저스티스의 저자 마이클 샌델 교수가 말하고 있잖냐
그러면서 둘의 보상의 차이가 매우 불공평하니 니가 말하는 '성과에 따른 보상 개념을 흔들자!' 라고 하는 것이 아니라 내가 많은 보상을 받는 것이 오롯이 내 능력이 좋기 때문이라 착각하지말고 운빨이 따라줬기 때문이니! 승자들은 오만하지말고 패자들은 자존감을 잃지 말자고 결론을 내렸다.
'사람들이 시스템에 불평,불만만 내놓고 정작 그래서 어떻게 하자라는 제시는 못한다' 라는 말이 나올게 아니라구.
마이클 샌델 교수도 능력에 따른 평가는 좋은 원칙이라고 의사의 예를 들어서 충분히 설명했단다.

언젠가 누가 우리나라 실질적 문맹률이 높다고 댓글 써놓은거 봤는데 너를 보니 정말 그럴수도 있겠다라는 생각이 든다.
스카이워커88 2021.02.10 12:00
[@오룡룡이] 성공이 고스란히 자신만의 성공일까 나를 뒷받침하고 같이 그 일을 한 사람들의 희생없인 불가능하다 최소한 그들을 존중하고 성공 못한이도 패자란  생각을 가지지 말란건데
오룡룡이 2021.02.10 13:24
[@스카이워커88] 제가보기엔 내용이 그런 취지가 아닌데요
"능력에 따라 보상받는 것" 이 정당한지가 주제이고 마지막 결론이 일부 어두운 면을 예로 들며 "정당하지 않다" 라고 결론내고 있잖아요
님이 말씀하는 것처럼 단순히 "우리 서로를 존중하고 자격지심 갖지 말자" 라고 얘기하고 있지 않아요
현 시스템이 뭔가 이상하지 않나? 불평등하지 않나? 불공정하다 라고 얘기하고 있잖아요. 그 후로 얘기는 없지만 저기서 좀만 더 나가면 "시스템을 뜯어 고쳐야 한다" "니 수익은 너의 능력으로 된 것이 아니다 나눠야 한다" 라는 이익공유제가 됩니다. 자유시장경제의 근간을 흔들 수 있는 위험한 접근이죠
돌쇠유 2021.02.10 22:00
[@오룡룡이] 대충 봐도 능력주의가 가진 함정에 대해 얘기하는 걸로 보이는데
님이 좀 너무 가신 것 같아요
일퀴벌레포충기 2021.02.10 22:20
먼소린지 원...
인터넷이슈

일간베스트

  • 글이 없습니다.

댓글베스트

  • 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