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딘가에 소속된다는 것에 대한 안정감은 살아가는데 생각보다 꽤 많은 동기부여가 됩니다.
그래서 인간은 본능적으로 무리를 짓고 살아가려고 행동하고 그 무리의 힘이 곧 나의 힘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내가 위험에 빠지면 우리 무리가 나서 줄 것이다. 나 또한 그럴테니라며, 한 번 발을 담군 공동체라면 그 곳을 빠져나오는 것 또한 쉬운일이 아닙니다.
단체의 일원으로서 인정받기 위해 노력하며 쌓아온 인간관계들은 보통 시간과 추억이 기반이 됩니다.
함께 무언가를 나누고 경험하고 했던 것들은 생각보다 꽤 단단한 결속을 맺어줍니다.
그 시점이 누군가에게는 1년 누군가는 2년 등 사람마다 차이는 있겠지만 그 공동체 안에서의 불이익이 있다면 그에 따른 혜택또한 마찬가지로 주어집니다.
그렇게 되면 그 사람은 저울질을 하게 됩니다. 내가 누릴 수 있는 집단 공동체의 인맥으로 인한 혜택과 단체 우두머리의 비도덕적인 불법 행위 중 선택을 해야 하는 순간이 오죠.
인간이 그리 많은데 내부고발자는 극 소수인 것 처럼, 우리 인간은 그다지 강인한 존재가 아닙니다.
현실과 타협을 너무도 쉽게 하죠. 그건 본인만의 사유와 철학이 없기때문입니다.
인간에 대한 이해를 너무 부실하면서 사회가 주는 자본주의에 대한 강박은 여지없이 강하게 받아드리게 되다보면
어느 순간 자본과 성공, 효율, 효과 등을 우선시 하는 사고에 익숙해지게 됩니다.
주변의 대 다수의 사람이 그럴테니 환경적인 요인도 또 한 몫하는거죠.
그래서 한 번 들어가면 빠져나오기가 어려우며, 스스로의 불안감을 달래기 위해 주변 사람을 끌어드려 너도 나랑 같지?
그러니까 내가 잘 못한게 아니지? 라는 자기 합리화 프로세스로 죄책감을 덜어냅니다.
그래야 자기 자신의 행동에 스스로 납득하고 스트레스를 지워버릴 수 있으니까요.
이게 바로 철학 없이 세워진 공동체(사회)를 좀먹는 곰팡이 같은 것들입니다.
지금의 대한민국에는 사회를 지탱하고 나아가야 할 우리만의 고유한 철학이 없습니다.
역사적으로도 중국의 불교나 유교, 일본의 근대화 사상 이외에 자주적으로 만들어낸 뿌리가 없는것이 안타까울 뿐 입니다.
그나마 가장 한국적인 철학과 사상을 만드려고 했던 인물이 다산 정약용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그래서 인간은 본능적으로 무리를 짓고 살아가려고 행동하고 그 무리의 힘이 곧 나의 힘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내가 위험에 빠지면 우리 무리가 나서 줄 것이다. 나 또한 그럴테니라며, 한 번 발을 담군 공동체라면 그 곳을 빠져나오는 것 또한 쉬운일이 아닙니다.
단체의 일원으로서 인정받기 위해 노력하며 쌓아온 인간관계들은 보통 시간과 추억이 기반이 됩니다.
함께 무언가를 나누고 경험하고 했던 것들은 생각보다 꽤 단단한 결속을 맺어줍니다.
그 시점이 누군가에게는 1년 누군가는 2년 등 사람마다 차이는 있겠지만 그 공동체 안에서의 불이익이 있다면 그에 따른 혜택또한 마찬가지로 주어집니다.
그렇게 되면 그 사람은 저울질을 하게 됩니다. 내가 누릴 수 있는 집단 공동체의 인맥으로 인한 혜택과 단체 우두머리의 비도덕적인 불법 행위 중 선택을 해야 하는 순간이 오죠.
인간이 그리 많은데 내부고발자는 극 소수인 것 처럼, 우리 인간은 그다지 강인한 존재가 아닙니다.
현실과 타협을 너무도 쉽게 하죠. 그건 본인만의 사유와 철학이 없기때문입니다.
인간에 대한 이해를 너무 부실하면서 사회가 주는 자본주의에 대한 강박은 여지없이 강하게 받아드리게 되다보면
어느 순간 자본과 성공, 효율, 효과 등을 우선시 하는 사고에 익숙해지게 됩니다.
주변의 대 다수의 사람이 그럴테니 환경적인 요인도 또 한 몫하는거죠.
그래서 한 번 들어가면 빠져나오기가 어려우며, 스스로의 불안감을 달래기 위해 주변 사람을 끌어드려 너도 나랑 같지?
그러니까 내가 잘 못한게 아니지? 라는 자기 합리화 프로세스로 죄책감을 덜어냅니다.
그래야 자기 자신의 행동에 스스로 납득하고 스트레스를 지워버릴 수 있으니까요.
이게 바로 철학 없이 세워진 공동체(사회)를 좀먹는 곰팡이 같은 것들입니다.
지금의 대한민국에는 사회를 지탱하고 나아가야 할 우리만의 고유한 철학이 없습니다.
역사적으로도 중국의 불교나 유교, 일본의 근대화 사상 이외에 자주적으로 만들어낸 뿌리가 없는것이 안타까울 뿐 입니다.
그나마 가장 한국적인 철학과 사상을 만드려고 했던 인물이 다산 정약용이 아닐까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