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골부부가 전 재산 처분해 한국 원정출산한 이유

몽골부부가 전 재산 처분해 한국 원정출산한 이유




 

부부는 앞서 세 아이를 잃었기 때문에 이번에 얻은 딸에 대한 애착이 더욱 컸다. 첫째는 2015년 11월 만삭에 3.5㎏으로 태어났지만, 장폐색 증세를 보이다 세 차례 수술 끝에 사망했다. 2017년 11월 둘째가 찾아왔지만 첫째와 똑같은 증상을 보였다. 첫째를 허망하게 잃었던 부부는 몽골에서 가장 권위 있는 국립 모자병원에서 수술을 받고 산전 진찰도 성실히 받았지만, 둘째 역시 하늘나라로 떠났다. 부부는 둘째 사망 이후 유전자 검사를 받았지만 별문제 없다는 진단결과가 나와 아이가 잘못된 원인도 알 수 없었다.


2020년 찾아온 셋째는 임신 3개월도 안 돼 유산됐다. 부부는 이후 절망감에 빠져 출산을 포기했지만, 지난해 11월 예상치 못하게 넷째가 찾아왔다. 장폐색증으로 아이가 재차 잘못될 수 있다는 걱정이 떠나지 않았지만, 부부는 한 번만 더 해보자고 결심했다. 2024년이 용의 해인 만큼 왠지 건강할 거라는 기대감도 있었다.


하지만 현실은 녹록지 않았다. 첫째와 둘째에게 나타난 증상이 '잔인하게도' 넷째에게 똑같이 나타났다. 그나마 다행인 건 초음파로 증상을 확인했다는 점이다. 아이를 세 차례나 잃었던 부부는 몽골에서 아이를 출산하기 두려웠다. 부부는 친척 조카가 분당서울대병원에서 대퇴부 골절 수술을 받고 만족해했던 기억을 떠올렸다. 부부는 마지막이라는 심정으로 병원에 연락했다. 치료비가 만만치 않았지만, 집(5,000만 원)과 차를 팔고 빚을 내면 감당할 수 있겠다 싶었다.


아내는 5월 27일 분당서울대병원에서 첫 진료를 받았다. 초음파 검사 결과 태아의 장이 이상하게 늘어나 있었다. 태아의 변 때문에 장이 막혀 팽창돼 있던 것이다. 의료진은 임신 상태를 최대한 유지하면서 위급한 상황이 닥치면 응급제왕절개 수술을 하기로 했다. 의료진은 이달 10일 실시한 초음파 검사 결과 태아에게 복수가 생긴 것을 확인했다. 태아의 장에 구멍이 생겨 복막염으로 발전한 상황이었다. 의료진은 다음 날 응급제왕절개 수술을 진행해 2㎏의 아이를 건강하게 꺼냈다. 임신 34주 만이었다.


(중략)


부부가 아직 납부하지 못한 치료비는 5,000만 원 수준이다. 한국 사람이면 100만 원가량 지불하면 되지만, 이들에게는 '외국인 수가'가 적용돼 병원비는 8,000만 원까지 늘어났다. 병원이 15% 감면해줘 부담은 조금 줄었지만, 몽골에서 들고 온 현금 2,300만 원으로는 턱없이 부족했다. 부부는 치료비를 내기 위해 집(5,000만 원)을 팔았고, 몽골에서 타던 차량까지 내놨다. 한 달 정도 신생아 중환자실 신세를 져야 하기에, 병원비는 최대 2억 원까지 불어날 수도 있다.


그럼에도 부부는 딸이 건강을 되찾고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행복하다. 더 열심히 살아야 한다는 이유가 생겼고 열심히 살 수 있다는 자신감도 생겼다. '아이를 위해 집까지 판 이유가 뭐냐'는 질문에 부부는 이렇게 답했다. “한국인과 몽골인 생각에 차이가 있는 것 같아요. 몽골에선 아직도 후손을 남기는 걸 중요하게 생각해요. 아이가 생기면 아이 인생까지 책임져야 하는 만큼 더 열심히 살 수밖에 없어요. 계획하지 않은 아이가 생긴 걸 보면, 이번엔 꼭 잘될 것 같았어요. 어렵게 찾아왔는데 포기할 수 없잖아요. 한국 의료 수준을 몽골이 따라가지 못하고, 이런 양질의 의료 서비스를 더 많은 몽골인이 누리지 못하는 게 안타까워요.”



https://n.news.naver.com/article/469/0000808968?sid=102

Comments 댓글 이미지 등록 : [이미지주소]

- 욕설, 비방, 어그로 댓글 작성 시 통보 없이 삭제됩니다. (신고 부탁합니다.)

erdnk8334 2024.06.28 12:45
우와
하반도우 2024.06.28 23:36
그 아이는 한국국적을 가질수있습니다
이역만리를 건너온 이들에게 축복이 있기를
인터넷이슈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추천
19346 공무원에 억대 뇌물주고 공사따냈다고 폭로한 업자 댓글+3 2023.12.22 17:19 4291 12
19345 가방 잃어버린 계양역 할아버지 근황 댓글+2 2023.12.22 17:18 3651 12
19344 수능 시험장서 마주친 학폭 가해자…규정 없어 피해자가 이동 댓글+1 2023.12.22 17:17 3023 3
19343 청소년에 속아 술 팔아도 고의 없으면 구제된다 댓글+5 2023.12.22 17:16 3030 4
19342 꽉 막힌 도로에서 길 비켜줬더니 구급차가 간 곳 2023.12.22 17:14 3381 3
19341 등굣길 초등생 납치 2억 요구…스스로 테이프 풀고 탈출 댓글+1 2023.12.22 17:14 2850 0
19340 4급 공익판정받은 2030청년들 내년에 현역복무가능성 댓글+5 2023.12.22 17:13 2811 1
19339 경남은행 부장 횡령 3000억대로 늘어…월 생활비만 7000만원 댓글+2 2023.12.22 17:11 3293 5
19338 일본 자동차 업계 역대급 사건이 터짐 2023.12.22 17:11 4134 7
19337 우즈벡 유학생들 납치출국 시킨 한신대 근황 댓글+2 2023.12.22 17:10 3658 7
19336 경복궁 2차 낙서범이 블로그에 적은글 댓글+6 2023.12.21 17:00 4301 4
19335 요즘 점점 이용자 수가 줄고 있다는 배달앱들 상황 댓글+4 2023.12.21 16:59 4268 2
19334 한문철 블랙박스에 나온 역대급 음주운전 사고 가해자 댓글+4 2023.12.21 16:54 4013 5
19333 생각보다 빡센 경복궁 낙서 복구 현장 댓글+1 2023.12.21 16:50 3206 2
19332 위험한 등굣길 때문에 기사 썼던 삼척 중학생 근황 댓글+2 2023.12.21 16:48 4050 18
19331 매일마다 1개씩 사라진다는 건설사 댓글+1 2023.12.21 16:46 3987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