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0년 동서독 화폐 통합 당시 상황

1990년 동서독 화폐 통합 당시 상황


1989년 11월 9일 베를린 장벽 붕괴 이후, 서독 정부는 서독에 오는 동독인들에게 환여금 100마르크를 지급하였다.

이후, 동독 정부의 기능이 사실상 붕괴되고 동독에서 1990년 3월 18일에 첫 자유 선거이자,

마지막 선거였던 총선이 시작되었다. 그결과 비 사회주의 계열의 정당이 집권하였다.

그후, 동서독 간의 통일 정책이 급무살을 타게 되었다.


 


동서독 간의 화폐 통합은 1990년 7월 1일에 실시되었으며, 공식적인 통일 날짜였던 10월 3일부터 먼저 실시되었다.




화폐 통합이 실시되자, 동독인들은 가지고 싶어했던 서독(독일) 마르크로 교환하기 위해 은행을 몰려갔다.

공식적인 당시 시장환율보다 높게 쳐주었다.








갑자기 돈이 많은 돈이 생긴 동독인들은 지멘스와 브라운, 밀레, BMW, 벤츠 등의 서독 기업과

프랑스산, 미국산 등의 서방 세계 제품에 크게 열광하였다.

특히 동독에서는 귀했던 열대 수입과일인 바나나에 대한 동독인들의 열광은 상당했었다고 한다.





너도나도 화폐개혁 초창기에는 큰 돈이 생겨버린 동독인들이 쇼핑이 나섰지만, 이건 일시적인 현상에 불과했다.




하지만, 화폐 통합으로 동독 지역의 산업 기반이 붕괴되었다.

화폐 통합으로 동독의 기업들이 산업 경쟁력을 잃게 되었으며, 이에 파산하는 기업들이 늘어갔다.

이렇게 되자, 동독 지역의 실업률이 20%에 달하는 현상도 발생되었으며,

그동안 공산주의 체제 하에서 실업을 경험하지 못한 동독인들의 당혹감이 컸다고 한다.





Comments 댓글 이미지 등록 : [이미지주소]

- 욕설, 비방, 어그로 댓글 작성 시 통보 없이 삭제됩니다. (신고 부탁합니다.)

정센 2020.12.20 17:56
준비없는 통일의 위험성 .. 아직까지도 독일은 통일로 인한 사회적비용을 지출하고 있다고 한다.
epshfble 2020.12.20 21:17
[@정센] 80%정도까지 올라왔을거에요, 불과 20년만에요
Doujsga 2020.12.20 18:19
다행이네 북한의 회사들은 이미 붕괴되어서 더 나빠질 여유도 없으니
숫너구리 2020.12.20 19:27
오씨와 베씨.
동독인들이 "우리는 한민족이다." 라고하면
서독인들이 "우리도 한민족이다." 라고 말하는..
꾸기 2020.12.21 17:18
북한출신들이 유투브에서 떠드는거보면
북한넘들은 중국에 흡수되길 바라더라..
어차피 흡수될거라면 남한보다 훨씬 큰 중국이 낫다고 ㅋㅋㅋㅋ
인터넷이슈
(종료) 뉴발란스 50%~90% 맨피스 특가 판매방송 공지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추천
3132 구글, 페이스북 시크릿 모드로 있어도, 당신의 포르노 사이트 내역 추… 댓글+2 2019.07.22 07:00 10904 1
3131 후쿠시마산 맛있다 일본 시민들 인터뷰 댓글+14 2019.07.22 06:59 8388 3
3130 일본 여행 갔다고 '망신'주는 익명 SNS 논란 댓글+11 2019.07.22 06:58 7915 3
3129 찾으려는 사람 이름, 생년월일만 알면 신상 털 수 있음 댓글+7 2019.07.22 06:57 10895 4
3128 홍대 누드모델 몰카 찍은 女, 피해자에 2500만원 배상 댓글+2 2019.07.22 06:56 8575 4
3127 후쿠시마 저주 토템 등장 댓글+6 2019.07.22 06:56 8204 8
3126 집단폭행에 뒷짐 진 경찰... 다른 신고 많아서 댓글+4 2019.07.22 06:54 6418 6
3125 주택에서 키우던 대형견이 세 모녀 공격 댓글+20 2019.07.22 06:47 7429 9
3124 브라질 강도 클라스 2019.07.22 06:44 8890 4
3123 2200만원짜리 자동차를 실수로 2200원으로 올린 자동차 회사 댓글+10 2019.07.22 06:35 7634 3
3122 일본에서 사는 사람이 말해주는 일본 내 혐한 댓글+20 2019.07.21 20:44 9537 19
3121 21세기 물산장려운동 댓글+49 2019.07.21 20:22 8324 10
3120 CJ 핵반 댓글+24 2019.07.21 19:36 11246 14
3119 병자호란 당시 칸이 직접 출동한 이유 댓글+16 2019.07.21 19:30 7801 8
3118 "자원해서 갔다고...? 하시마를...?" 댓글+6 2019.07.21 18:56 9273 19
3117 위안부 소녀상 동상에 침뱉은 피의자 전격 인터뷰 댓글+17 2019.07.21 13:53 7341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