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AE 사막에 파종한 우리쌀 근황

UAE 사막에 파종한 우리쌀 근황




http://biz.khan.co.kr/khan_art_view.html?artid=202004291102001&code=920100#replyArea



우리쌀을 중동 사막지역에서 재배하는데 성공함. 


국내에서 재배할 때보다 생산량이 40% 증가.



농진청이 건조지역용으로 자체 개발한 벼 품종인


‘아세미’를 지난해 11월 25일 샤르자지역 시험재배지 1890㎡에 파종.


이 벼는 다음달 5일쯤 수확이 이루어질 예정.



10a당 예상 수확량은 763㎏로 같은 품종을


국내에서 재배했을 때의 수확량(538㎏) 보다


40% 정도 많은 것으로 나타남.

Comments 댓글 이미지 등록 : [이미지주소]

- 욕설, 비방, 어그로 댓글 작성 시 통보 없이 삭제됩니다. (신고 부탁합니다.)

Ignore 2020.04.30 15:49
모래 위에 농사를 지었다는건지
마카 2020.04.30 17:21
대단한일이긴한데...기름보다 물이 비싼나라여서 경제성은 없을듯
케이즈 2020.04.30 17:40
[@마카] 해수를 담수로 바꿔 댄다고 하는거보니 괜찮을지도.
케이즈 2020.04.30 17:43
[@케이즈] "사막에서 벼를 재배하기 위해서는 관개용수 공급이 절대적이다. 이에 UAE에서는 담수화한 바닷물을 썼다. 그런데 쌀 생산액(565만 원/ha)이 바닷물 담수 비용보다 낮아 경제성은 확보하지 못한 상황이다. 이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pH와 염 농도가 높은 UAE의 지하수를 사용하는 방안과 담수재배에 비해 물 사용량을 70%까지 줄일 수 있는 고랑재배와 포기별 점적관수 방식을 함께 적용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출처: 부산일보] http://www.busan.com/view/busan/view.php?code=2020042911541816775

찾아보니 담수로 바꾸는 비용이 많이 들어서 다른 방식도 검토한다고.
leejh9433 2020.04.30 19:05
[@마카] 원래 과학이든 공학이든
1단계는 경제성 고려 안하고 개발, 연구해서 성과를 내고
그 다음 단계에서 경제성을 따집니다
오만과편견 2020.04.30 21:19
사막화된곳을 토지화가 가능한지..궁굼하네요
날닭 2020.05.01 07:58
[@오만과편견] 가능은 합니다.
다만 사막자체가 산성이 강해서 중성화시켜야 가능하다는 조건이 붙죠.
저 본문의 경우에는 대략 1미터정도 땅속에 장판(?)을 깔아서 물이 고이도록 만들었고, 그위의 중성화로 만든 땅을 덮어서 농업을 테스트하였다고 합니다.
다이브 2020.04.30 23:17
저 벼 품종 자체가 척박한 사막에서도 자랄수 있게 만든 품종이랍니다
깜장매 2020.05.01 19:10
어차피 땅이 저러면 무슨 종이든 잘자라는것 아냐
인터넷이슈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추천
21552 “소비쿠폰 못 탄 거여? 이거 써유” 충남 홍성에서 일어난 일 댓글+2 2025.07.26 2028 9
21551 "저요? 그냥 노는데요" 취업해도 '금방 퇴사', 왜? 댓글+2 2025.07.25 2462 4
21550 복귀 의대생 교육기간 압축…특혜 논란 불가피 댓글+11 2025.07.25 1375 5
21549 김건희 '트위터 실버마크 받으려 외교부ㆍ국가안보실동원' 댓글+1 2025.07.25 1334 3
21548 암표 되팔이 정상화 시키는 롯데 자이언츠 댓글+2 2025.07.25 1827 9
21547 이삿짐 다 싸들고 온 그날..."문이 안 열려" 악몽 시작 2025.07.25 1672 6
21546 미국-멕시코 국경 지하 비밀통로 2025.07.25 1400 4
21545 "왕 노릇"하던 '마래푸' 회장님, 입주민 공간 독차지 논란 댓글+2 2025.07.25 1584 6
21544 "벌금? 내면돼~" 도 넘은 신천지 의전 댓글+7 2025.07.24 2480 9
21543 통일교 전 본부장 수첩 확보 댓글+3 2025.07.24 1876 6
21542 “남편 폰에 몰래”… ‘불륜 감시앱’에 6천명 ‘우르르’ 댓글+5 2025.07.24 2050 1
21541 동작구 신종 전세사기 범죄 떴다 댓글+1 2025.07.24 1881 6
21540 굳은 표정으로 "머지 않았다" '챗GPT 아버지'의 섬뜩한 경고 댓글+2 2025.07.24 1819 3
21539 러시아 경제 근황 댓글+1 2025.07.24 2092 3
21538 지게차에 묶고 "잘못했냐"...충격적인 이주노동자 인권유린 댓글+2 2025.07.24 1239 1
21537 LA에 AI 휴게소 개장한 테슬라 2025.07.24 1327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