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군대를 바꾼 대표적인 두 사건

대한민국 군대를 바꾼 대표적인 두 사건

 

 

"참으면 윤 일병

 

못 참으면 임 병장"

 

대한민국 군대를 바꾼 대표적인 두 사건 윤 일병, 임 병장 사건

 

 


 

1. 윤 일병 사건

 

22사단에서 집단괴롭힘에 앙심을 품은 병장이 총기를 난사하여 다수의 사망자를 발생시킨 임병장 사건과 더불어 대한민국을 뒤흔든 충격적인 사건으로 두 사건으로 인해 군대의 이미지는 나락으로 추락했다. "그래도 대한남아면 군대는 갔다와야지." 라는 군대에 대한 자부심은 사라지고 "어떻게든 군대를 빼야 한다."로 바꿔놓았다. 또한 조현오 전 경찰청장의 활약으로 부조리가 거의 없어졌다는 의경 지원율이 치솟고, 아들의 군 생활을 확인하려는 부모가 많아지는 등 군대에 대한 불신은 현재진행형이다.

 

윤승주 일병(사망 당시 만 20세, 1993년생)이 생활관에서 선임 병사들과 만두 등 냉동식품을 나눠 먹던 중, 이찬희 병장(당시 만 25세, 1988년생) 이하 선임병 4명에게 정수리와 가슴 등을 구타 당하고 쓰러지고 그 상태에서(!) 추가적으로 구타와 폭행을 당하다가 결국 사망에 이르게 된 사건이다. 윤 일병이 피를 흘리면서 쓰러짐에도 불구하고 가해자들은 생명을 구하는 일엔 아랑곳 없이 폭행을 멈추지 않는 비정함을 보였다. 결국 음식물이 기도를 막아 뇌사상태에 빠진[1] 윤 일병은 병원으로 긴급 이송됐지만, 결국 다음 날 사망하고 말았다.

 

 


 

2. 임 병장 사건

 

2014년 6월 21일 오후 8시 15분 경 강원도 고성군에 위치한 대한민국 육군 제22보병사단 GOP에서 발생한 군무이탈 및 총기난사 사건. 가해자인 임도빈 병장의 이름에서 따와 일명 임병장 사건으로도 불린다. 지금까지 비슷한 류의 총기난사 사건은 많이 발생하였으나 전역을 불과 3개월 앞둔 병장에 의한 총기난사 사건은 사상 처음 있는 일이다. 이 때문에 사건 초기에는 간첩의 소행이 아닌가 하는 의견이 제기되었다. 병장에 의한 동료사살은 이 사건 말고도 1988년에도 있었는데 정신병 증상이 생긴 상태에서 현역 복무를 하다가 동료를 사살하는 사건을 벌인 이 병장 사건도 있다. 하지만 이 경우는 정신이상으로 인해 저지른 짓이기 때문에 이번 임 병장 사건과는 사정이 전혀 다르다.

 

비슷한 시기에 일어났던 제28보병사단 의무병 살인사건(윤 일병 사건), 김 일병 자살 사건과 더불어서 대한민국 육군의 병영문화가 만들어낸 비극이자, 사회에서 피해를 입고 당하기만 했던 사람이 못참고 벌인 살인극. 결국 그의 분노가 폭발하여 5명이 피살되고 9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Comments 댓글 이미지 등록 : [이미지주소]

- 욕설, 비방, 어그로 댓글 작성 시 통보 없이 삭제됩니다. (신고 부탁합니다.)

김영광 2019.10.07 01:15
임병장 GOP 소초는 진짜 참혹했다. 영화에서나 보던 수류탄 터진 흔적을 실제로 본거나 그 작은 소초에서 사건 경위가 참담하다
산미구엘 2019.10.07 01:42
사실상 코리안 조커 내용
인터넷이슈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추천
21586 '제지하지 않은 공무원 탓'이 통하지 않는다는 유럽 댓글+1 2025.08.09 954 10
21585 돈 버는 고령층 '역대 최고' 찍었다…"계속 일할래" 이유는 역시 '… 댓글+3 2025.08.08 918 0
21584 '세월호 추모' 음식점 주인, 손님이 폭행 댓글+10 2025.08.08 886 6
21583 젊은 사람들 인생 망가뜨린 80대 여성 댓글+11 2025.08.08 1869 8
21582 아기 목에 뭐가 걸리고 엄마가 한 행동 댓글+2 2025.08.08 1334 9
21581 전세사기 역대급 등장 댓글+20 2025.08.07 3336 6
21580 육군 72사단 성추행 및 2차가해 논란 댓글+1 2025.08.06 2549 6
21579 아파트 편식... 그 미래는? 댓글+4 2025.08.06 2774 4
21578 군대 가서 사고 나기까지의 타임라인 댓글+7 2025.08.06 2384 7
21577 2살 배기 아이 놔두고 친구 만나러 간 엄마 댓글+7 2025.08.05 2411 1
21576 “파라솔 빌려야 입장?” 제주 또 바가지 논란 댓글+5 2025.08.05 2232 7
21575 "걸어서 배달 하라고요?" 부자들의 '사생활" 댓글+13 2025.08.04 3091 5
21574 아프리카 세네갈의 국민 기업이 된 한국 기업 댓글+3 2025.08.03 3394 25
21573 궁금한 이야기Y에 나온 기후위기를 믿지않는 사람들 댓글+14 2025.08.02 3735 5
21572 망가진 '기후 조절 시스템' 댓글+1 2025.08.02 3237 7
21571 첫 여중생 국제수학올림피아드 금메달, 윤혜원 양 인터뷰 댓글+7 2025.08.02 221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