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태어나는 아이 절반 이상 고소득층 가정

요즘 태어나는 아이 절반 이상 고소득층 가정

아기 10명 중 1명 만 저소득층서 태어나…신간 '0.6의 공포, 사라지는 한국'

정재훈 교수 "저소득층, 아예 출산 포기하기 시작했다고 추측 가능"




 

요즘 태어나는 아기들 가운데 열에 아홉은 중산층 이상에서, 열 명 중 한 명만이 저소득층에서 태어난다는 연구가 소개됐다.


정재훈 서울여대 사회복지학과 교수의 신간 '0.6의 공포, 사라지는 한국'에서 인용한 '소득 계층별 출산율 분석과 정책적 함의'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가난한 집일수록 아이를 낳지 못하는 현상이 심화하고 있다.


해당 연구진은 아이를 낳은 가구가 100가구 있다고 전제한 뒤, 2010년부터 2019년까지 소득별 구간에 따라 저소득층·중산층·고소득층으로 나눠 비율 변화를 분석했다.


그 결과, 저소득층이 차지하는 비율은 2010년 11.2%에서 2019년 8.5%로 2.7%포인트 감소했다. 100가구가 아이를 낳았는데 그중 저소득층 가구 수는 9명이 채 안 된다는 뜻이다.


중산층 가구 비율도 같은 기간 42.5%에서 37.0%로 하락했다.


반면 고소득층 가구 비율은 46.5%에서 54.5%로 8%포인트 증가했다. 아이를 낳은 100가구 가운데 고소득층이 47가구에서 55가구로 증가한 것이다.


연구진은 소득별 구간의 경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을 활용했다. 중위소득의 75% 이하를 벌면 저소득층, 200% 이상을 벌면 고소득층, 그 사이를 중산층으로 봤다.


이런 기준에 따라 가계금융복지 조사 자료를 토대로 2021년 1인당 중위 소득(세후 기준)은 연 3천174만원이었다. 즉 연간 2천380만원 아래로 벌면 저소득층, 6천348만원 이상 벌면 고소득층에 해당한다.


정 교수는 "결과적으로 모두가 아이를 낳지 않기 시작한 시대이긴 해도, 고소득층은 그래도 아이를 낳고 있고, 중산층은 아이 낳기를 주저하고 있으며, 저소득층은 아예 출산을 포기하기 시작했다고 추측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유전무죄 무전유죄'라는 말이 있는데, 이제는 '유전자녀, 무전무자녀'라는 말이 생길 수도 있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저자는 아이를 낳을 수 있는 계층과 아이를 낳을 수 없는 계층 간 양극화를 비롯한 다양한 저출생·저출산의 원인을 책을 통해 살펴봤다.


아울러 저자는 저출생·저출산 원인이 하나로 수렴하지 않으며, 갖가지 사연과 이유가 얽히면서 저출생 현상을 만들어내고 있다고 지적한다.


그러면서 사회적 돌봄 체제와 보편적 사회보장제도 등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는 '대개조'를 통해서만 저출생 위기를 어느 정도라도 해결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https://www.imaeil.com/page/view/2024022214400742608

Comments 댓글 이미지 등록 : [이미지주소]

- 욕설, 비방, 어그로 댓글 작성 시 통보 없이 삭제됩니다. (신고 부탁합니다.)

짱규 02.24 11:40
딱히 그렇다고만 볼수 없음
낳는 가정이 소득이 마노을 수 이ㅛ르나 소득이 많아도 안낳는 부부 많음
아른아른 02.24 12:38
[@짱규] 통계, 평균, 일반적인은 예외를 모두 포괄하는 개념이 아닙니다.
몽헤알 02.24 14:28
중상류층 전유물 맞지 뭐
ssee 02.24 17:57
세계적 통계에는 오리혀 중산, 고소득층일수록 출산을 안한다라고  기억함.

이런 일이발생한 이유는
중산층 쪽이 가장 평범한 또래들 생각을 가지고있다. 라고 봐야겠지.

저소득충은 갈라치기 당해서 비혼선언하고
여행가고 놀려다니니 바쁘고
유저이슈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추천
421 변호사가 겪은 층간소음 2024.04.01 2097 4
420 중국발 입국자 전수조사 비용 개인부담 댓글+2 2022.12.30 08:57 2095 4
419 세종 일장기男 "뭘 잘못했나"…소녀상 철거집회 깜짝 연설 댓글+9 2023.03.07 16:50 2094 9
418 망사용료 부과 주장하는 국힘 박성중 저격하는 이준석 댓글+3 2023.03.16 15:51 2094 4
417 엔씨소프트, 2분기 영업익 353억원...전년비 71.3% 하락 2023.08.09 19:56 2094 3
416 택배 들고 장례식장에 찾아온 택배기사 2024.01.06 2093 8
415 대구시, 249곳 작은도서관 예산 전액 삭감 댓글+4 2023.01.16 14:05 2091 5
414 내년 16만명 외국인 근로자 입갤 댓글+12 2023.11.23 11:02 2091 3
413 적대국 대하듯… 일본, 한국 IT기업에 “지분 팔고 떠나라” 댓글+5 2024.04.26 2091 3
412 "[단독]“공익은 사람 아냐” “말 걸고 XX”…" 댓글+2 2023.10.18 12:27 2087 4
411 영국여성 얼굴에 휘발유 붓고 불지른 남성 검거 2024.02.16 2085 0
410 근친혼 4촌 축소 논란의 발단이 된 사건 2024.03.11 2085 0
409 부영그룹 회장 "애 낳으면 1억, 셋 낳으면 집도 주겠다" 댓글+6 2024.02.05 2084 5
408 일론머스크 74조 보너스 무효소송의 근황 댓글+3 2024.03.05 2083 6
407 애견유치원에서 개를 잃어버림 댓글+3 2024.05.09 2083 16
406 일본 출산하면 칼퇴근, 자택근무 법적 의무화 댓글+5 2024.03.13 2082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