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물가 특징

우리나라 물가 특징

Comments 댓글 이미지 등록 : [이미지주소]

- 욕설, 비방, 어그로 댓글 작성 시 통보 없이 삭제됩니다. (신고 부탁합니다.)

구본길 2021.08.27 08:45
유통업계가 폭리를 취해서 그런거임.
특히 농수산물 유통구조를 책임져야할 농협마저도 제 소임을 못하고 있어서 산지대비 소매가는 몇 배씩 차이나는 경우가 다반사임.
옵티머스프리마 2021.08.28 00:08
[@구본길] 그래서 우리 지자체 내에서 군비를 들여서 온, 오프라인 마켓을 만듬.

지역 농업인들이 직접 기르고 재배한 식품을 마켓에 납품 함. 마켓은 공무원 한명이 맡아 기간제근로자 5명 신규채용해서 운영함.

그래서 중간 유통이란게 없음. 직접 재배하고 직접 포장해서 직접 마켓에 납품하니까....

구매자는 높은 퀄리티의 제품을 일반시장보다 싸게 사서 좋고, 농민은 생산,포장,유통을 전부 하다보니 일은 많아 졌지만, 수입이 늘어남...

참고로 벼 20kg을 농협에서 수매 하면 농민은  37,000원을 받고. 농협은 쌀(일반미)을 70,000만원에 팜.
그런데 지역 마켓에서는 농민이 쌀을 60,000~65,000원(유기농)에 팜. 물론 농민이 도정하고 포장까지 해서 납품까지 하니, 15,000~18,000원이 모두 추가 이익이은 아니지만 농민들의 소득이 증대 되는 것은 사실임.

또한 절임배추나 농민이 직접 재배한 작물로 김치등을 만들어서 남품해서 추가 수입이 생김.

다만, 마켓 하나로 모든 농민들이 전부 혜택을 받을 수가 없는게 아쉬울 뿐임.
akrnakrn6 2021.08.27 09:53
https://youtu.be/TO2dBVmA1wY

경매 도매시장에서부터 문제임
유저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