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준호 감독, 故이선균 사망에 "수사당국 이 모든 책임에 자유로울 수 없어"

봉준호 감독, 故이선균 사망에 "수사당국 이 모든 책임에 자유로울 수 없어"


12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고(故)이선균 배우의 죽음을 마주하는 문화예술인들의 요구' 성명서 발표 기자회견, 봉준호 감독이 성명서를 낭독하고 있다. 허상욱 기자wook@sportschosun.com/2024.01.12/
[스포츠조선 안소윤 기자] 봉준호 감독이 고(故) 이선균 사건의 진상규명을 촉구하기 위해 목소리를 높였다.

문화예술인 연대회의(가칭)는 12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고 이선균 배우의 죽음을 마주하는 문화예술인들의 요구'라는 제목의 성명서를 발표했다. 이날 기자회견은 배우 최덕문의 사회로 진행된 가운데, 봉준호 감독, 가수 겸 작곡가 윤종신, 이원태 감독, 배우 김의성, 한국영화감독조합 장항준 감독, 여성영화인모임 소속 곽신애 대표, 한국영화프로듀서조합 소속 장원석 대표 등이 참석했다.


먼저 봉준호 감독은 수사 당국에 요구 사항을 전했다. 


그는 "고인의 수사에 관한 내부 정보가 최초 누출된 시점부터 사망에 이르기까지 2개월여에 걸친 기간 동안 경찰의 수사보안에 한치의 문제도 없었는지 관계자들의 철저한 진상규명을 촉구한다" 고 운을 뗐다.

이어 "수사가 진행되는 동안 공보책임자의 부적법한 언론 대응은 없었는지, 공보책임자가 아닌 수사업무 종사자가 개별적으로 언론과 접촉하거나 기자 등으로부터 수사사건 등의 내용에 관한 질문을 받은 경우 부적법한 답변을 한 사실은 없는지 한치의 의구심도 없이 조사하여 그 결과를 공개하기를 요청한다" 고 덧붙였다.

또 봉 감독은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의 정밀감정 결과 음성판정이 난 지난 11월 24일 KBS 단독보도에는 다수의 수사 내용이 포함되어 있는데 어떤 경위와 목적으로 제공된 것인지 면밀히 밝혀져야 할 것이며, 3번째 소환조사에서 고인이 19시간의 밤샘 수사에도 불구하고 일관되게 혐의를 부인한 후인 12월 26일에 보도된 내용 역시 그러하다. 언론관계자의 취재 협조는 적법한 범위 내에서 이루어져야 함에도 불구하고, 3차례에 걸친 소환절차 모두 고인이 출석 정보를 공개로 한 점, 당일 고인의 노출되지 않도록 대비하는 어떠한 조치도 취하지 않은 점이 과연 적법한 범위 내의 행위인지 명확하게 밝힐 것을 요청한다" 고 전했다.

마지막으로 그는 "수사당국은 적법절차에 따라 수사했다는 한 문장으로 이 모든 책임에 대해 자유로울 수 없다. 수사 과정에 대한 철저한 진상조사만이 잘못된 수사관행을 바로잡고 제2, 제3의 희생자를 만들지 않는 유일한 길" 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이선균은 마약 투약 혐의로 경찰 수사를 받아오던 중 지난달 27일 세상을 떠났다. 소속사 호두앤유엔터테인먼트는 "마지막까지 공정한 경찰 수사 결과를 통해 진실이 밝혀질 것을 바랐으나 더 이상 기대할 수 없는 상황이 되었기에 당사에서 직접 하나씩 사실 관계를 바로잡겠다"며 "확인을 거치지 않고 보도된 모든 기사 및 온라인 상에 게재된 게시물에 대해 수정 및 삭제를 요청 드린다"고 입장을 밝혔다.


https://entertain.naver.com/movie/now/read?oid=076&aid=0004096844



김의성 “故이선균 사건, 가혹한 인격살인”



배우 김의성이 12일 오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진행된 '고(故)이선균 배우의 죽음을 마주하는 문화예술인들의 요구' 기자회견에 참석해 성명 발표를 하고 있다. 서병수 기자 qudtn@edaily.co.kr /2024.01.12/
배우 김의성이 배우 故이선균 사건과 관련해 “가혹한 인격살인”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의성은 12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문화예술인연대회의(이하 연대회의)의 ‘고(故) 이선균 배우의 죽음을 마주하는 문화예술인들의 요구’ 성명을 발표하는 자리에서  이 같이 말하며 “우리의 입장을 밝히는 것이 유명을 달리한 동료에 대한 최소한의 도리” 라고 말했다. 

김의성은 “지난해 10월23일 고인이 정식 입건된 때부터 2개월 여 동안 그는 아무런 보호장치 없이 언론과 미디어에 노출됐다. 모든 과정이 언론에 생중계됐다. 사건 관련성과 증거 유무조차 판단할 수 없는 상황에서 언론과 미디어를 통해 대중에 공개됐다. 19시간 수사가 진행된 3번째 경찰 소환조사에서 거짓말탐지기를 통한 진위 요구를 했는데 결국 인생의 마침표를 찍는 참혹한 선택을 스스로 했다” 고 말문을 잇지 못했다. 

이어 “대중문화예술인들에 대한 수사과정에서 다시는 이런 일이 반복되지 않길 바란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윤종신은 "대중문화예술인이 대중의 인기에 기반할 수밖에 없다는 점을 이용하여 악의적으로 검증되지 않은 소스를 흘리거나 충분한 취재나 확인절차 없이 이슈화에만 급급한 일부 유튜버를 포함한 황색언론들, 이른바 '사이버 렉카'의 병폐에 대해 우리는 언제까지 침묵해야 하는가? 정녕 자정의 방법은 없는 것인가" 라며 언론 및 미디어의 자성을 촉구했다.


https://entertain.naver.com/movie/now/read?oid=445&aid=0000168835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Comments 댓글 이미지 등록 : [이미지주소]

- 욕설, 비방, 어그로 댓글 작성 시 통보 없이 삭제됩니다. (신고 부탁합니다.)

유저이슈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추천
11304 펌] 물류 최전선에서 전하는 불길한 징조 모음 댓글+2 2023.03.08 10:43 4906 4
11303 미국 : 죽어라! 한국! 댓글+14 2023.03.08 10:39 5354 12
11302 아내가 낳은 "불륜남 아이" 사건 결말 댓글+1 2023.03.08 10:37 4475 6
11301 좋아죽는 2찍들 근황 댓글+5 2023.03.08 10:35 4722 7
11300 충북 도지사 "나는 오늘 기꺼이 친일파가 되련다" 댓글+9 2023.03.08 10:21 4716 4
11299 보배유저가 본 제2의 IMF 댓글+12 2023.03.08 09:59 4820 8
11298 혁명의 나라 프랑스 근황 댓글+5 2023.03.08 09:54 5055 2
11297 중소기업 69시간 예행연습 돌입 댓글+15 2023.03.07 20:42 5836 12
11296 故 성공일 소방사의 명복을 빕니다. 댓글+13 2023.03.07 17:10 5192 34
11295 연예인 경제적으로 어렵다고 걱정 하는게 부질없는 이유 댓글+2 2023.03.07 17:09 5423 7
11294 꽃뱀 참교육 담당 여검사 댓글+6 2023.03.07 17:07 5846 14
11293 중소기업계 "월 100시간 일하게 해달라" 댓글+17 2023.03.07 17:07 5605 16
11292 넷플릭스 '나는 신이다'에서 정명석한테 욕박은 교수님 과거 댓글+2 2023.03.07 17:06 5147 10
11291 선진국과 한국 주69시간 비교 댓글+4 2023.03.07 17:04 4772 7
11290 日 외무대신 “한국에 감사, 건전한 관계 복원할 것… 그러나 수출규제… 댓글+8 2023.03.07 17:03 4441 7
11289 주52시간 시행 당시 기사 수준 댓글+6 2023.03.07 17:02 4871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