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태어나는 아이 절반 이상 고소득층 가정

요즘 태어나는 아이 절반 이상 고소득층 가정

아기 10명 중 1명 만 저소득층서 태어나…신간 '0.6의 공포, 사라지는 한국'

정재훈 교수 "저소득층, 아예 출산 포기하기 시작했다고 추측 가능"




 

요즘 태어나는 아기들 가운데 열에 아홉은 중산층 이상에서, 열 명 중 한 명만이 저소득층에서 태어난다는 연구가 소개됐다.


정재훈 서울여대 사회복지학과 교수의 신간 '0.6의 공포, 사라지는 한국'에서 인용한 '소득 계층별 출산율 분석과 정책적 함의'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가난한 집일수록 아이를 낳지 못하는 현상이 심화하고 있다.


해당 연구진은 아이를 낳은 가구가 100가구 있다고 전제한 뒤, 2010년부터 2019년까지 소득별 구간에 따라 저소득층·중산층·고소득층으로 나눠 비율 변화를 분석했다.


그 결과, 저소득층이 차지하는 비율은 2010년 11.2%에서 2019년 8.5%로 2.7%포인트 감소했다. 100가구가 아이를 낳았는데 그중 저소득층 가구 수는 9명이 채 안 된다는 뜻이다.


중산층 가구 비율도 같은 기간 42.5%에서 37.0%로 하락했다.


반면 고소득층 가구 비율은 46.5%에서 54.5%로 8%포인트 증가했다. 아이를 낳은 100가구 가운데 고소득층이 47가구에서 55가구로 증가한 것이다.


연구진은 소득별 구간의 경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을 활용했다. 중위소득의 75% 이하를 벌면 저소득층, 200% 이상을 벌면 고소득층, 그 사이를 중산층으로 봤다.


이런 기준에 따라 가계금융복지 조사 자료를 토대로 2021년 1인당 중위 소득(세후 기준)은 연 3천174만원이었다. 즉 연간 2천380만원 아래로 벌면 저소득층, 6천348만원 이상 벌면 고소득층에 해당한다.


정 교수는 "결과적으로 모두가 아이를 낳지 않기 시작한 시대이긴 해도, 고소득층은 그래도 아이를 낳고 있고, 중산층은 아이 낳기를 주저하고 있으며, 저소득층은 아예 출산을 포기하기 시작했다고 추측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유전무죄 무전유죄'라는 말이 있는데, 이제는 '유전자녀, 무전무자녀'라는 말이 생길 수도 있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저자는 아이를 낳을 수 있는 계층과 아이를 낳을 수 없는 계층 간 양극화를 비롯한 다양한 저출생·저출산의 원인을 책을 통해 살펴봤다.


아울러 저자는 저출생·저출산 원인이 하나로 수렴하지 않으며, 갖가지 사연과 이유가 얽히면서 저출생 현상을 만들어내고 있다고 지적한다.


그러면서 사회적 돌봄 체제와 보편적 사회보장제도 등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는 '대개조'를 통해서만 저출생 위기를 어느 정도라도 해결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https://www.imaeil.com/page/view/2024022214400742608

Comments 댓글 이미지 등록 : [이미지주소]

- 욕설, 비방, 어그로 댓글 작성 시 통보 없이 삭제됩니다. (신고 부탁합니다.)

짱규 2024.02.24 11:40
딱히 그렇다고만 볼수 없음
낳는 가정이 소득이 마노을 수 이ㅛ르나 소득이 많아도 안낳는 부부 많음
아른아른 2024.02.24 12:38
[@짱규] 통계, 평균, 일반적인은 예외를 모두 포괄하는 개념이 아닙니다.
몽헤알 2024.02.24 14:28
중상류층 전유물 맞지 뭐
ssee 2024.02.24 17:57
세계적 통계에는 오리혀 중산, 고소득층일수록 출산을 안한다라고  기억함.

이런 일이발생한 이유는
중산층 쪽이 가장 평범한 또래들 생각을 가지고있다. 라고 봐야겠지.

저소득충은 갈라치기 당해서 비혼선언하고
여행가고 놀려다니니 바쁘고
유저이슈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추천
11844 국민 절반이 해외여행 가는 나라 댓글+12 2023.04.14 08:46 5107 3
11843 현재 난리난 삼성램 상황 2023.04.14 08:40 5291 5
11842 치킨값 올리면 뭐하나…반토막 난 교촌, 개미들도 시큰둥 댓글+4 2023.04.14 08:38 5118 3
11841 우크라이나의 부정부패 근황 댓글+5 2023.04.14 08:36 5151 3
11840 국내 OTT업계 '초비상', '술도녀·이효리' 내세워도 적자 1200… 댓글+6 2023.04.14 08:35 4962 0
11839 돈이라도 뿌려야지 댓글+9 2023.04.14 08:01 4956 2
11838 감축 목표 40% 댓글+13 2023.04.14 07:57 4918 1
11837 [오피셜] 누누티비, 서비스 종료 댓글+7 2023.04.13 19:46 6524 3
11836 한 청년이 빗속에서 3시간동안 구걸한 이유 ㅠㅠ 댓글+2 2023.04.13 16:38 6171 5
11835 중소기업 65.7% "적정 주 최대 근로시간은 60시간" 댓글+13 2023.04.13 11:14 5388 3
11834 이승기 인스타 장문 글 업뎃 댓글+4 2023.04.13 11:12 5793 3
11833 옆집 다 탔는데, 그을린 흔적도 없다…강릉산불 기적의 집 댓글+2 2023.04.13 11:11 5561 7
11832 학폭 가해, 모든 대입전형에 의무적으로 반영…현 고1부터 적용 댓글+2 2023.04.13 11:10 5007 2
11831 입장료 30만원? 스와핑 및 집단성교 알선 댓글+5 2023.04.13 11:06 6156 4
11830 결혼하기 쎄한 느낌.blind 댓글+7 2023.04.13 11:05 5781 3
11829 삼성서비스센터에서 고소당한 보배아재 댓글+8 2023.04.13 11:02 5304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