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혐주의) 카카오 이모티콘 근황

(혐주의) 카카오 이모티콘 근황

upload-item 



그에 대한 문의 답변



0f5ae48f78a4f6fa350af0e145df496c_1653445850_7078.jpg


이제 일베가 슬슬 사회 곳곳에서 다시 기어나오는구나...
 

Comments 댓글 이미지 등록 : [이미지주소]

- 욕설, 비방, 어그로 댓글 작성 시 통보 없이 삭제됩니다. (신고 부탁합니다.)

스티브로저스 2022.05.25 13:44
특정 의미를 담아 혐오 의도가 고스란히 드러나는데?
잎너아벼아녀당 2022.05.25 13:53
[@스티브로저스] 저거 진짜 판매중인가? 궁금하네 ㅋㅋㅋㅋㅋㅋ
도로이 2022.05.25 14:17
저게 뭔가요? 잘 몰라서 ㅠ
펩시필터 2022.05.25 20:29
[@도로이] 노무현 + 코알라 = 노알라라고 일베에서 만든 합성이미지
신선우유 2022.05.26 12:16
[@펩시필터] 난 윤석렬인줄 ㅋㅋ
흐냐냐냐냥 2022.05.25 14:20
ㅍㅁ나 ㅇㅂ나 그냥 닥치고 짜져서 살았으면 좋겠구만
메좆두 2022.05.25 14:47
몰라서 그러는데 왜 일베고 무슨 혐오의도인거임??
아시는 분 설명좀 부탁드림
ktii 2022.05.25 14:50
이거 설명좀 나도 모르겠네
스티브로저스 2022.05.25 15:06
일베충들이 故 노무현 대통령을 고인모독할 때 주로 쓰던 것들 중 하나가
노무현이 생전에 했던 말 들 중에  '기분좋다'라는 말이 있는데
이걸 가지고 일베충들이 '기분좋다. 이기야. ' 이러면서 희화화하여 사용함.

노무현이랑 코알라랑 합성하여 양복입은 짤을 밈으로 해서 고인모독에 주로 썼음.
당장 구글링 돌려보면 양복입은 노무현 증명사진에 코알라 합성한 짤 수도 없이 나옴

많고 많은 동물 중에 하필이면 코알라랑 비슷한 형태의 캐릭터이고
일베충들이 자주 쓰는 단어를 멘트로 넣어서
노무현이 죽은 날 입은 회색양복으로 이모티콘을 만들었는데
이게 혐오 표현이 아니라고?

카카오는 본인한테 물어보고 '본인이 아니랍니다.' 하면 그걸로 끝?
dlrpsoslrspdla 2022.05.25 15:18
[@스티브로저스] 이게 일베와 관련이 없는 거면 페미들 손가락모양도 관련 없게 되는 거임 ㅅㅂ일베새끼들 다 나가뒤졌음 좋겠다 제발 인터넷에서만 살라고..
스카이워커88 2022.05.25 15:10
ㅂㄹ 같은 인간들이 사회전반에 튀어나오고 있으니...
windee 2022.05.25 16:10
모르겠으면 구매해서 지인들 단톡방이나 회사 동기 단톡방에서 써보세요
decoder 2022.05.25 17:18
[@windee] 와 이거 추천!!!!
한사람 인간관계 나락가는건 시간문제겠군요.ㅎㅎ
스피맨 2022.05.25 20:16
[@windee] 무슨 또 구매까지 해야하나...누구 좋으라고
저장하기 해서 움짤올리는것처럼 쓰면 충분할지도 모르는데...똥인지 찍어 맛보라는건 좋은 생각은 아니지
인지지 2022.05.25 16:30
ㅂㅅ들
ssee 2022.05.25 21:38
그런말이 있음.
일베를 아는사람 비정상.
일베밈을 아는 사람 비정상.

위에 두개다 저게뭔데 하는 사람 정상.
쏠라씨 2022.05.25 21:44
[@ssee] 개소리
일베를 아는 사람이 비정상이라고?ㅋㅋㅋㅋ
하는 사람이 비정상이지 안다고 비정상이면 일베 존나 극혐해도 일베를 알아서 극혐하는거니까 비정상이네?ㅋㅋㅋㅋㅋㅋㅋ
ssee 2022.05.25 21:47
[@쏠라씨] 그냥 저말의 의미는 전 그거라 생각함.
정치권이랑 관련된 것들이다.  너무 과한 관심은 쓸모없다. 이런거 아닐까싶음.

님이 일배 증오한다고 일베가 사라지는게 아니듯이요.

기분나뻣으면 미안해요 그냥 문뜩 예전에본 댓글이라..
요하임딸기 2022.05.27 19:44
[@ssee] 일베를 아는 사람이 비정상이 아니라 하는 사람이 비정상이지
일베를 하고 일베밈을 알면 비정상인건 킹정인 부분
구구 2022.05.25 21:52
노통이랑 하나도 안비슷한데..??
반지성주의가낳은괘물 2022.05.25 23:09
어휴 드런샠키들
류세이 2022.05.26 14:36
카카오는 진짜,,, 어이가 없네 ㅋ
유저이슈
다음검색 버튼을 누르면 과거의 자료들을 더 보실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