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서 대동맥박리 환자 또 사망…"대학병원에 수차례 전화했지만 거부"

부산서 대동맥박리 환자 또 사망…"대학병원에 수차례 전화했지만 거부"


 

부산에서 지난달 31일 대동맥박리 환자가 이른바 '응급실 뺑뺑이'를 돌다가 사망하는 사고가 또 다시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달 26일 50대 대동맥박리 환자가 부산 내 수용가능한 병원을 찾지 못한 사건이 벌어진 뒤 닷새 만에 똑같은 일이 발생한 것이다.


17일 경남소방본부에 따르면 지난달 31일 오후 4시 9분께 60대 여성 A씨가 가슴 통증을 호소하고 있다는 신고가 119에 접수됐다. 신고 14분 뒤인 4시 23분께 도착한 소방은 A씨에 대한 응급조치를 하면서 동시에 진료할 수 있는 병원을 찾기 시작했다.


하지만 소방은 A씨를 수용할 병원을 구하지 못했다. 당시 구급대원은 A씨의 자녀에게 “병원 10여곳을 알아봤는데 진료할 수 있는 곳이 없어서 계속 알아보고 있다”며 “(가까운) 부산 쪽으로 알아보겠지만 안되면 창원이나 멀리까지 갈 수도 있다”고 전했다.


신고지로부터 가장 가까운 Y 대학 병원을 포함한 6곳의 병원에선 “병상 없음, 진료할 의사 없음” 등을 사유로 ‘수용 불가 통보’를 받았다. 특히 Y 대학병원의 경우 소방이 여러 차례 수용 가능 여부를 물어봤으나 모두 거절당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과정에서 A씨를 실은 구급차는 1시간가량 어떤 병원으로도 이동하지 못했다.


결국 오후 5시 18분께 부산 동래구에 위치한 D 종합병원으로 이동했다. A씨의 신고지로부터 차량으로 30분가량 거리로, 거리로는 22km 떨어진 곳이었다. A씨를 받아주는 곳은 이곳 뿐이었다.


D 병원에 도착한 시각은 신고 시각으로부터 1시간 16분 뒤인 오후 5시 25분이었다. 하지만 A씨는 2시간가량 제대로 된 진단을 받지 못했다고 한다. A씨는 병원 응급실에 도착한 후 피 검사, 혈압 검사 등 몇 가지 검사만 받은 채 병원 측으로부터 퇴원을 권유받았다.


A씨와 그의 가족이 “가슴이 너무 아프다”며 병원 측에 CT 검사 등을 요구하고 나서야 병원 측에선 CT 검사 등을 추가로 진행했다. A씨는 이 과정에서 '대동맥박리’를 진단 받았다.


대동맥박리 수술이 불가했던 D병원은 A씨를 부산 서구의 B 대학병원으로 전원시켰다. A씨는 신고 시각으로부터 4시간 가량이 지난 오후 8시 20분께 B 대학병원에 도착했다.


도착 직후 곧바로 수술실에 들어갔지만, A씨는 수술에 들어가기도 전에 심정지 판정을 받았다. 의료진이 20분가량 심폐소생술을 진행했지만, A씨는 결국 당일 오후 10시 15분께 사망진단을 받았다.


A씨의 사망 원인은 대동맥박리였다. 대동맥박리는 대동맥 혈관 내부 파열로 인해 대동맥 혈관 벽이 찢어져 발생하는 질환이다. 골든타임을 지키는 게 중요한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응급실 뺑뺑이로 인한 ‘대동맥박리 사망’ 사고는 A씨의 사망 불과 닷새 전에도 발생한 바 있다. 지난 3월 26일엔 부산 거주 50대 심정지 환자가 응급실을 찾지 못해 15곳의 병원에서 거부당하고, 울산으로 이송됐지만 사망하는 사고가 일어났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4973964?sid=102

Comments 댓글 이미지 등록 : [이미지주소]

- 욕설, 비방, 어그로 댓글 작성 시 통보 없이 삭제됩니다. (신고 부탁합니다.)

길동무 2024.04.18 10:09
의사들이 환자옆에 없는데
크르를 2024.04.18 10:18
대동맥 박리는 초응급에 발병자 사망율이 높아서 앵간한 병원에서는 안받으려함.
pinkstar19 2024.04.18 15:51
[@크르를] 잘 몰라서 그러는데 사망자 발생하면 병원에 불이익이 가나요? 왜 응급 환자를 거부 하는거죠?
도선생 2024.04.18 16:54
[@pinkstar19] 병원 이미지 아닐까요
테이블데스 많이 난 병원이라 하면...
물론 저 행동이 옳다고 생각은 안합니다
아른아른 2024.04.19 00:27
[@pinkstar19] 님 눈 앞에서 사람 죽는데 쉽게 받고싶겠어요?.. 의료진도 사람이에요. 살리기위해 의료업을 하는거지만 병원의 장비부족이건 상황의 무력함이건 선뜻 쉽게 받아들이긴 힘들죠..
아야시로 2024.04.19 13:50
[@아른아른] 그런 이유는 아닐겁니다. 살리기 어려운 환자와 의료실수를 구분하여 잘잘못을 따져 입증하기 어려워서 그럴거에요
스랄스랄스랄 2024.04.18 19:11
우리나라 의사들 윤리가 무언가 어긋나기 시작하는거 같다
정센 2024.04.19 15:47
죽고나서 사인이 판명이 된거지 막상 응급 환자로 어딘가 병원에 실려가야 하는 상황이라면 대동맥박리인지 어떤 병인지 의심과 예상만 할뿐 명확히는 몰라요 .. 기사의 논지는 의사가 없어서 응급실에 자리가 없어서 환자가 죽었다는 것 응급실 뺑뺑이 다 똑같아요 .. 응급실에 자리가 없어서 돌다돌다 죽어요 ..
유저이슈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추천
12705 슈카월드가 말하는 한국 출산율이 망한 여섯가지 이유 댓글+17 2023.07.07 14:41 6311 9
12704 불법촬영.. 이례적으로 증거 인정 댓글+7 2023.07.07 14:39 6242 7
12703 남편에 성매매 들킬까봐 "성폭행 당했다"…판사 "무슨 생각이냐" 댓글+1 2023.07.07 14:38 5493 3
12702 카페 여사장 뒤에서 끌어안은 70대남 댓글+6 2023.07.07 14:37 5518 4
12701 편의점 1800만원 참교육 후기 댓글+7 2023.07.07 14:35 6547 17
12700 서버비 폭탄나온 부산대 맞춤법 검사기 근황 2023.07.07 14:35 5268 4
12699 전 아이돌 트레이너의 피프티 피프티 사태 해결 방안 제시 댓글+9 2023.07.07 10:37 6482 13
12698 순살자이에 이어서 통뼈캐슬 등장 2023.07.07 10:02 5889 6
12697 원희룡은 다 알고 있었다 댓글+16 2023.07.07 08:31 6316 21
12696 전홍준 피프티피프티 대표, 20년 전 샵 해체 때 이지혜 보호한 '양… 2023.07.06 17:17 7357 13
12695 어느 소아과 폐업 안내문 댓글+7 2023.07.06 15:01 5756 9
12694 붕괴됐던 검단아파트, 1666채 모두 허물고 다시 짓기로 결정 댓글+14 2023.07.06 14:59 5340 5
12693 동네 구청 일자리 면접 결과 댓글+4 2023.07.06 14:58 5162 3
12692 보배드림 난리난 킥보드로 차에 기스냈더니 4천만원 달라는 차주 댓글+5 2023.07.06 14:57 5675 3
12691 사고쳐버려서 현재 보배드림에서 공론화된 롯데건설 댓글+1 2023.07.06 14:30 5638 5
12690 남의 가게 앞에 쓰레기 무단투기하는 미x놈 댓글+3 2023.07.06 14:29 5111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