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증외상센터 작가가 말하는 의료개혁 대안

중증외상센터 작가가 말하는 의료개혁 대안


Comments 댓글 이미지 등록 : [이미지주소]

- 욕설, 비방, 어그로 댓글 작성 시 통보 없이 삭제됩니다. (신고 부탁합니다.)

15지네요 02.03 18:07
의료 문턱이 높아지는건 돈없으면 아파 죽으라는 얘기같음..
병세가 약할때 치료받아 하는걸 만원 이만원 아끼려다가 악화되는길인데...
팙팙팙 02.03 18:38
걍 의협 걸고 딜만 쳐도 진정성부터 확보하고 좋은데 에휴
Agisdfggggg 02.03 18:53
자본주의 사회에서 돈이 없으면 당연히…
특히 자기 몸 관리도 제대로 안하고 술, 담배, 배달음식, 인터넷에 찌들어서 살면…
ㅁㄴㅊ 02.03 19:27
의사긴 의사네. 걍 의사를 늘려. 미용시장 개방 당연하고. 돈 없는 분들이 어떻게 사는 지도 아예 모르는 것 같네.
벼멸구 02.03 20:19
[@ㅁㄴㅊ] 의사늘리면 지금 값싼 시스템 유지 안됨
karyuan 02.03 20:40
[@벼멸구] 궁금해서 여쭤보는건데 왜 의사가 늘어나는데 진료비가 비싸지나요?
단순하게 생각하면 싸지는게 정상같은데 담합이라도 하지않는 한
조로리 02.03 21:00
[@벼멸구] 수요 공급의 법칙이 의사 수에만 적용되지 않는다는 기적의 논리.. 제대로 설명하는 사람은 없다고 한다.
Doujsga 02.03 21:31
[@벼멸구] 변호사 늘렸더니 변호사 늘어나서 시스템 더 좋아졌던데요
김택구 02.03 23:41
[@벼멸구] 의료비는 근로자들이 건보를 내줘서 싼거지 의사가 싸게받는게 아니야 ㅋㅋㅋㅋㅋ
테클충 02.03 20:37
애초에 감기 따위로 병원을 간다는것도 문제긴함
작가가 말한것 처럼 감기, 비염, 염좌 같은건 의사가 과잉 진료하기 딱 좋음
가격도 ㅈㄴ 싸서 돈은 안되니 괜히 여러번 오게 제대로 치료도 안해줌
그중 비염은 낫지도 낫게 해주지도 못하는데 존나 오라가라함
이런거 기본 진료비 자체를 올려서 여러번 갈거 한번만 가게 하는 것도 나쁘지않을듯
정센 02.03 22:23
진짜 제일 큰 문제 중 하나는 미용시장에 있는 의사 숫자가 엄청 많다는것 ..
제이탑 02.03 23:13
노인들 진짜별거 아닌걸로 병원에 매일 출근하는거.. 이거 시급함
또 그인간들이 국힘만 찍고
김택구 02.03 23:40
권역센터 응급의학 전문의 연봉이 이미 5억수준인데 뭘 더올려줘 의사를 더 뽑아야지 ㅋㅋㅋ
불룩불룩 02:08
닥터프렌즈도 의사증원에 반대하지 않았나?
증원에는 왜반대할까?
ALBATROSS 10:52
수요 공급의 법칙은 너무나도 단순하지만 그렇기에 너무나도 명확함.
어떤 직업이든 인력 공급을 늘리면 거기에 맞게 서비스 단가는 조정될 수밖에 없음. 자본주의에서 이 법칙이 적용되지 않는 직업은 이 세상에 존재하지 않음.

말로는 의사들 정말 힘들다 어쩐다 하지만 대한민국에서 부모들이 자녀가 되길 가장 원하는 직업 1위가 의사인 이유는 전문직 중 의사가 가장 평균적으로 돈을 많이 벌기 때문이고, 그 원인은 의사의 공급량 제한에 있음.

의사도 변호사, 택시기사처럼 제한을 확 풀어 무한경쟁 상태로 만들면 그에 의해 모든 블루오션이 레드오션이 되어 의사들의 선호 영역과 다르게 외과,내과,피부과 등등 구분없이 골고루 분포하게 됨. 이 사실을 의사들이야말로 다른 직업에 속한 누구보다 본인들이 더 잘 알고 있음. 그래서 일부를 제외한 대부분의 의사들이 단계적이든 일시적이든 증원에 반대부터하는 것임.
anonn 14:22
[@ALBATROSS] 안녕 난 MD PHD야 논문인용은 1300건 정도되고ㅇㅇ

애송아, 수요와 공급으로 가격을 찾아낸다는 게 무조건 이루어지는 건 아니란다. 제대로 가격이 discovery되려면 몇 가지 조건이 필요해:
1. 기타 요인은 일정해야 해: 가격 외의 소득, 취향, 대체재 가격 같은 요인들은 모두 일정해야 한단다.
2. 완전 경쟁 시장이어야 해: 시장에 수많은 구매자와 판매자가 있어서, 어느 한쪽도 가격에 영향을 주지 못해야 해.
3. 가격은 투명해야 하지: 소비자와 생산자가 정확한 가격 정보를 미리 알고 있어야 해.
4. 합리적으로 행동해야 해: 소비자와 생산자 모두 효용이나 이윤을 극대화하기 위해 합리적으로 의사결정을 내려야 한단다.
5. 즉각적 조정이 필요해: 수요와 공급 변화에 따라 가격과 생산량이 빠르게 조정되어야 시장이 균형을 이룰 수 있지.

이런 조건들이 충족될 때만, 수요와 공급의 가격 discovery가 제대로 이루어지는 거야.

하지만 의료비 시장은 위에서 말한 조건들을 충족시키지 못한단다. 예를 들어, 의료비는 완전 경쟁 시장이 아니고, 가격 투명성이 부족하며, 환자와 의료 제공자 사이에는 정보 비대칭이 존재해. 게다가, 긴급한 치료 필요성 때문에 합리적 의사결정이 어려워서, 수요와 공급이 단순하게 맞춰져 가격이 discovery되는 상황과는 다르단다.

중학교 때 배운 너의 ㅈ같이 얇디얇은 지식으로 포장해서 아는척하지 말아줄래?
유저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