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팡이 그렇게 잘못했나요?"…'과징금 1628억' 이유 있었다

"쿠팡이 그렇게 잘못했나요?"…'과징금 1628억' 이유 있었다

선요약)


- 쿠팡은 과징금 1628억 맞을 만큼 큰죄를 지음


- 돈만 번게아니라, 물가올려서 소비자도 피해줌




 

▶서기관님. 쿠팡은 민간기업이잖아요. 공공도서관의 인기 도서 순위를 정하는 것도 아니고, 국립 휴양림 펜션 시설의 예약순번을 정하는 것도 아닌 민간기업이 자사 사이트를 마음대로 꾸미는 게 2000억원 가까이 과징금을 물어야 할 만큼 잘못된 건가요?


"네. 공정거래위원회에서 규율하는 법률 중에 공정거래법이 있는데요. 공정거래법에서는 불공정한 경쟁수단을 이용해서 소비자들을 유인하는 행위, 위계에 의한 고객유인 행위를 금지하고 있습니다."




▶'위계에 의한'이란 어떤 건가요?


"'소비자를 속인다'라고 쉽게 생각하시면 되고요. 이번 쿠팡의 위법 행위처럼 검색 순위나 구매 후기와 같이 소비자들이 상품을 구매 선택할 때 굉장히 중요한 고려 요소로 생각하시는 요인들에 대한 잘못된 정보를 전달해서 소비자들이 해당 상품을 선택하도록 유인하는 행위는 공정거래법상 위법한 행위에 해당되고, 과징금 부과 대상이 됩니다."


▶쿠팡 문제를 이해하려면 직매입 상품, PB 상품, 중개 상품이라는 유통 용어를 알아둘 필요가 있던데요. 먼저 직매입 상품과 PB 상품은 기본적으로는 쿠팡이 사서 팔고, 남으면 재고를 쿠팡이 떠안는 상품들입니다.


이 가운데 직매입 상품은, 라면을 예로 들면 쿠팡이 농심, 오뚜기 라면을 사다가 팔고 남으면 재고를 떠안는 상품입니다. PB 상품은 쿠팡이 라면 제조사에 '이러이러한 맛의 라면을 이 가격에 만들어 주세요'라고 주문 제작한 상품에 '쿠팡 라면'하는 식으로 자사 상표를 붙여 파는 상품입니다. 재고부담을 쿠팡이 떠 안는 점은 마찬가지입니다. 그렇다면 중개 상품은 뭔가요?




"중개 상품은 쿠팡 입점업체들이 직접 상품을 구매해서 소비자들에게 판매하는 상품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때 쿠팡은 입점업체와 소비자의 거래를 중개해주는 플랫폼의 역할을 합니다. 똑같은 'A라면'을 검색했을 때 쿠팡의 검색 화면에는 쿠팡이 직접 매입해서 판매하는 라면과 입점업체가 판매하는 라면이 모두 같이 섞여서 노출되게 됩니다."


▶같은 사이트에서 다른 사업자(입점업체)의 상품을 소비자에 중개하는 플랫폼 역할을 하면서 동시에 그 플랫폼에 쿠팡이 자기 상품도 같이 팔면서 빚어지는 이해상충이 문제의 본질 같은데요. 그렇다면 쿠팡이 직매입 상품이나 PB 상품 같은 자기 상품만 팔거나 네이버쇼핑, 11번가처럼 중개 상품만 팔았다면 문제는 없었던 건가요?


"네. 그렇게 보실 수 있는 측면이 있는데요. 말씀하신 것처럼 이번 사건은 쿠팡이 가지는 독특한 지위 때문에 발생했다고 보시면 됩니다. 쿠팡은 자기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자이자 입점업체의 상품 거래를 중개하는 중개 사업자의 이중적인 지위를 가지고 있습니다. 자기 상품과 중개 상품을 섞어서 검색순위를 산정하고 알고리즘을 운영하는 심판의 역할을 동시에 하고 있는 사업자입니다."




(중략)




▶핵심은 소비자에게 이로우냐 아니냐일 텐데요. 정부가 온라인 사이트의 상품 노출 순서까지 규제하다보면 가격만 오르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있을 수 있겠습니다.


"그런 우려를 하실 수 있지만 실상은 반대입니다. 쿠팡의 내부 자료에서 확인한 바에 따르면 쿠팡이 이렇게 자기 상품을 장기간 검색 순위 상위에 고정 노출하는 행위를 통해서 자기 상품 뿐 아니라 중개 상품까지 쿠팡에서 판매되는 모든 상품의 평균 판매 가격이 상승했다는 사실을 저희가 확인했습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5030132

Comments 댓글 이미지 등록 : [이미지주소]

- 욕설, 비방, 어그로 댓글 작성 시 통보 없이 삭제됩니다. (신고 부탁합니다.)

jbluej12 2024.09.06 02:47
미국이나 유럽에서는 기본적으로 유통회사나 유통플랫폼 회사가 자체상품 판매를 금지하고 있습니다
왜냐면 독점적 위치를 악용할 소지가 매우 크기 때문이겠죠
대체 한국은 독과점법이라는 있기는 한건가요?
Randy 2024.09.06 03:22
[@jbluej12] 조센징은 인문학적인 고민은 없고 효율과 돈만 중시함
유저이슈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추천
16926 한국 쫓아오는 중국.. “R&D에 630조원 쏟아부었다” 댓글+1 2024.09.28 11:49 3590 6
16925 "1억 공탁했지만"...'차 빼달라' 여성 폭행한 전직 보디빌더의 최… 댓글+2 2024.09.28 11:36 4136 4
16924 보배드림에 올라왔던 아파트 주차 인터뷰 댓글+6 2024.09.28 11:12 5582 4
16923 암표 방지를 위한 KBO 특단의 대책 댓글+3 2024.09.28 10:55 4226 8
16922 단속 피하려다 40대 베트남 여성 추락사 댓글+6 2024.09.28 10:50 3952 3
16921 네웹 대표와 현직작가가 말하는 웹툰 검열 댓글+2 2024.09.27 22:50 4146 7
16920 박문성 : "주호야 왜 거기 혼자 서있어??" 2024.09.27 22:08 5153 20
16919 훈련병 사망 사건 여중대장 근황 댓글+5 2024.09.27 18:18 5804 12
16918 구본성 아워홈 부회장 근황 2024.09.27 17:59 3998 3
16917 검찰, '청담동 주식부자' 이희진 범죄수익 122억원 전액 환수 댓글+4 2024.09.27 17:52 3541 3
16916 MBC 보도 제재 18전 18승 댓글+3 2024.09.27 17:35 3823 12
16915 尹대통령 국정지지율 25%…최임 후 최저치 댓글+10 2024.09.27 17:33 3176 5
16914 천수정 "동료 개그우먼들 집단 따돌림에 때려치웠다" 은퇴 이유 고백 2024.09.27 16:52 3887 4
16913 부부싸움 중 홧김 6개월 딸 15층서 던진 20대 엄마…20년 구형 댓글+9 2024.09.27 12:43 3602 1
16912 "성폭행 피해자 정신병적 문제로"..JMS 경찰 간부의 '수사대비법' 2024.09.27 12:28 3084 2
16911 난리난 경남 최대상권 부도사태 2024.09.27 12:07 3757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