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린이 표현 그만 쓰세요".news

"~린이 표현 그만 쓰세요".news





 

진짜 더럽게 할 일이 없나 보네

Comments 댓글 이미지 등록 : [이미지주소]

- 욕설, 비방, 어그로 댓글 작성 시 통보 없이 삭제됩니다. (신고 부탁합니다.)

seagull 2021.04.27 12:53
무슨 단어의 의미에도 과거 회귀가 있나. 조선시대 ‘어리다’의 의미를 말하고있네
ssee 2021.04.27 13:17
?
 뭔 개,.씨,ㅡ발 같은 소리지?
어린이가 왜..미숙하고 불완전하다라는 의미야...
한 60 년때쯤이려나

그당시에는 어린이라는 단어가 없어서
애새,.끼가 통칭이였음.

그래서 방정환 선생님이 어린이라는 단어를 만들었다라고 알고있고.
그걸기념하기 위한 날이 5월5일임.

제발 띵언이니 커엽이니 야민정음 좆 때로쓰는건 멍청한 논리를 말하지 않는이상
뭐라할 생각없지만 이건 진짜 화나네..
샤랄라 2021.04.27 15:43
[@ssee] 60년대로 말씀하셔서 추가 하고자 댓글 달아요.
'어린이'는 '어리-+-ㄴ+이'가 결합한 말입니다. 이 말이 문헌에 나타나는 것은 17세기부터인데, 중세 국어에서 '어리석다'는 뜻으로 쓰이다가 점차 '나이가 적다'는 뜻으로 변한 '어리다'의 관형사형 '어린'에 의존 명사 '이'가 결합된 말로 '어린 사람'을 뜻했습니다. 그러다가 방정환 선생이 1920년에 '어린이'라는 말을 새롭게 쓰면서 높임의 뜻이 생기게 되었습니다.
출처: 국립국어원
스티브로저스 2021.04.27 13:24
트PC들은 그냥 거르면 됩니다.
dlrpsoslrspdla 2021.04.27 15:43
여윽시 트위터
느헉 2021.04.27 16:01
세상만사 너무들 불편하신 분들이 많음
스카이워커88 2021.04.27 22:59
그냥 저런짓하는애들은 병림픽하는 애들 그들만의 리그에 휘둘리는 정치인들도 문제 그냥 무시해도 되는거에는 이상하게 민감해함
신선우유 2021.04.28 02:17
어린이가 혐오표현라니..
다이브 2021.04.28 20:18
80~90년대 어릴적 어린이 행사가 참 많았는데
방송만 보더라도 진행자나 패널들이 어린이 패널들에게 항상 ~군, ~양 호칭 붙여주고 평어 써줬음
어린이 문화에 관련된 걸 봐도 다 어린이를 사랑하고 존중하자 이런 내용이 기본 바탕에 깔렸었는데
요즘은 문화 자체가 옛말로 하면 쌍놈들이나 하는 상스러운 말들이 공공기관에서 조차 쓰이는게 현실이니 씁쓸하다
더 심각한건 이게 뭐가 문제냐고 따지고 드는 것들도 상당히 많다는거다
잘못된 것을 바로 잡아야 하는게 어른의 사회적 의무인데
따지고 드는게 피곤하면 집에 가서 자
유저이슈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추천
20830 특이점이 온 일본 은둔형 외톨이 근황 댓글+2 2025.10.27 566 0
20829 5호선 점령한 외국인 승객들, 맨발로 코 파며 스피커 시청… "추하다… 댓글+5 2025.10.27 470 1
20828 무인점포 때려 부순 문신남과 묵묵히 치운 행인 댓글+2 2025.10.27 446 2
20827 코스피 4000 뚫었다…증시 역사상 최고치 댓글+3 2025.10.27 484 1
20826 내로남불 이란 고위층 결혼식 댓글+1 2025.10.27 576 4
20825 세계에서 한국만 있는 전세제도가 결국 없어질수 밖에 없는이유 댓글+3 2025.10.27 607 0
20824 법정서 "아빠!" 외치며 손흔든 세살 아들…"아이고" 판사는 탄식했다 댓글+1 2025.10.27 557 1
20823 9조원 투입... 전세사기금 회수 불가 댓글+3 2025.10.27 576 4
20822 1,200억 투입... K-애니 제작지원금 근황.jpg 2025.10.27 573 3
20821 최근 중국에서 일어난 황당한 사망사고 댓글+1 2025.10.26 2456 5
20820 10년간 800억의 혈세를 들여 만든 관광지의 최후 댓글+2 2025.10.26 1847 4
20819 캄보디아 줄줄이 취소 어쩌나..."낙인 찍기 멈춰달라" 호소 댓글+4 2025.10.26 1788 4
20818 권경애 노쇼사건 항소심을 마치고 어머니의호소문 댓글+1 2025.10.26 1454 6
20817 채상병 사망 사건에 뜬금 배우 박성웅이 등판한 이유 댓글+5 2025.10.26 1768 11
20816 일자리 없는 성장의 시대 댓글+5 2025.10.26 1476 4
20815 싱가포르, 월급 37% 저축 안 하면 처벌받는다 댓글+1 2025.10.26 1102 4